서문
총을 드는 세상이 아닌 꽃을 드는 세상으로
1장 우리가 구덩이에 빠졌을 때 해야 할 일
영화 〈메기〉 | 감독 이옥섭 | 글 이다혜
“청년을 위한 해피엔딩은 어디 있을까”
2장 어쩌다 학교는 이토록 살벌한 공간이 되었을까
영화 〈우리는 떡볶이를 먹을 권리가 있다〉 | 감독 최익환 | 글 이주현
“혁명을 하기에 좋은 타이밍이라는 게 있다면 그건 지금 당장이다”
3장 추앙받지 못하는 낙오된 아이돌
영화 〈힘을 낼 시간〉 | 감독 남궁선 | 글 이다혜
“이른 나이부터 너무 힘을 내고 살아온 사람들”
4장 아이와 노인은 무엇이 닮았을까
영화 〈봉구는 배달 중〉 | 감독 신아가, 이상철 | 글 이주현
“노인을 위한 나라가 사라지고 있다”
5장 누구도 자신의 희망이 되어달라고 강요할 수 없다
영화 〈4등〉 | 감독 정지우 | 글 이다혜
“당신은 성적을 위해 어디까지 희생할 수 있나요”
6장 미우나 고우나 곁엔 사람들이 있다
영화 〈하늘의 황금마차〉 | 감독 오멸 | 글 이주현
“아름다운 죽음에 대한 힌트”
7장 가깝고도 먼, 고독사와 생의 의지
영화 〈소주와 아이스크림〉 | 감독 이광국 | 글 이다혜
“나의 고독에 안부를 묻다”
8장 양심을 허락받아야 하는 세상
영화 〈얼음강〉 | 감독 민용근 | 글 이주현
“한국에서 군대가 무엇이기에”
9장 장애를 은유가 아닌 실제로 표현하기
영화 〈두한에게〉 | 감독 박정범 | 글 이다혜
“왜 ‘장애인 흉내’를 내는 것에 박수 치는가”
10장 모르는 척하고 싶겠지만, 당신도 감시당하고 있어요
영화 〈과대망상자(들〉 | 감독 신연식 | 글 이주현
“욕망 자체를 거세당한 세대”
부록
인권영화 프로젝트 20년의 기록
폭력과 차별, 통제와 억압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인권 감수성은 어떻게 길러지나?
이 책은 총 10장에 걸쳐 우리 사회의 고질적이고도 첨예한 열 가지 인권 주제를 소상히 다룸 으로써, 자연스레 인권 감수성을 자각하고 배우게 한다. 1장에서는 이옥섭 감독의 영화 〈메기〉 를 소재로 데이트폭력과 정보인권, 청년실업 문제를 다룬다. 2장에서는 최익환 감독의 영화 〈우리는 떡볶이를 먹을 권리가 있다〉 를 소재로 ‘자유’라는 보편적 권리 앞의 청소년 인권을, 3장에서는 남궁선 감독의 영화 〈힘을 낼 시간〉 을 소재로 청(소년의 꿈과 좌절을, 4장에서 는 신아가, 이상철 감독의 영화 〈봉구는 배달 중〉 을 소재로 노인과 아동 차별을 다룬다. 5장 에서는 정지우 감독의 영화 〈4등〉을 소재로 스포츠와 청소년 인권을, 6장에서는 오멸 감독의 영화 〈하늘의 황금마차〉 를 소재로 존엄하게 죽을 권리를 이야기한다. 7장에서는 이광국 감독 의 영화 〈소주와 아이스크림〉 을 소재로 비정규직, 무연고고독사, 소통의 부재를, 8장에서는 민 용근 감독의 영화 〈얼음강〉 을 소재로 신념과 병역거부를, 9장에서는 박정범 감독의 영화 〈두한에게〉 를 소재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가난과 장애를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10장에서는 신 연식 감독의 영화 〈과대망상자(들〉을 소재로 감시사회 속 개인의 불안을 다룬다. 의심하지 않았던 것을 의심하게 하고, 질문하지 않았던 것을 질문하게 하고, 꿈꿔보지 못한 것을 꿈꾸게 하는 열 가지 영화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인권 감수성이 한층 벼려지고 깊어질 것이다.
청년을 위한 해피엔딩은 어디 있을까?
사랑, 떡볶이, 아이돌, 성적을 경유해 이야기하는 청(소년 인권
청년으로 뭉뚱그려 이야기하기에, 그 세대 내부의 문제는 보다 범사회적이며 곳곳에 깊숙이 영향을 미친다. 《총은 총을 부르고 꽃은 꽃을 부르고》에는 청(소년이 주인공이 되어 당사자 입장에서 세대의 문제를 고발하는 영화 네 편이 등장한다. 영화 〈메기〉 는 “사랑스러우면서도 동시에 매서운”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