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Ⅰ 인도사상의 연원
1. 고대인도사상베다사상과 제의우파니샤드사상베다사상과 불교
2. 불교의 발생 배경
Ⅱ 인도불교철학의 전개
1. 경전의 결집
2. 인도철학의 시작과 전개
3. 아비달마철학『구사론』에 대하여오온·십이처·십팔계
4. 중관학파초기교설과 용수의 연기철학공성과 중도로서의 연기철학희론적멸과 파사현정이제설
5. 유가행파유식무경제8 아뢰야식제7 말나식제6식심소유식삼성유식수행의 5단계
6. 인명론인명의 정의인명학의 범위인식관계
7. 여래장사상
8. 밀교
Ⅲ 중국의 역사와 사상
1. 역사와 사상사의 의의
2. 중국고대사와 문화하상주(봉건제·정전제·종법제·예악제·사춘추전국시대백가쟁명(유가·묵가·도가·법가진유교(도덕관·심성론·학문한 제국의 사상면면과 그 의의(한무제·동중서·참위법·훈고학과 『설문해자』·도교
Ⅳ 불교사 속의 중국역경사
1. 번역의 개관번역의 기준과 격의격의의 난제역경의 시대역경사의 이면
2. 중국역경사와 시대별 대표인물역경의 서막, 안세고와 지루가참삼국시대의 역경, 지겸과 강승회양진 시기의 불교사적 특징(축법호·불도징·도안·구마라집·승조와 축도생·담무참남북조 시기의 불교(구나발타라·보리류지·진제수·당 시기의 불교, 중국화의 완성(현장·실차난타·의정오대십국 시기의 불교송의 격변과 선종의 흥기요·금 유목민족의 불교금의 불교원의 불교명·청으로 흐르는 불교
Ⅴ 중국불성사
1. 중국불성사의 개관불성의 정의와 기본전개위진남북조시대의 현학과 불성론현학의 개관
2. 불성의 논제불성에서 법성으로불성의 유무와 성불의 가능 여부본래 있는가, 닦아서 갖추는가천태와 화엄, 성구와 성기로 말하다즉심즉불돈오와 점수의 문제유심정토, 간명함으로 승부를 보다중국불성론의 전개가 시사하는 것
Ⅵ 중국선종사
1. 선종사의 개관, 선에 대해 말할 때 말하고 싶은 것
2. 선종의 전등과 역사서선종의 전등선종의 역사서
3. 여래선의 전개여래선의 정의교에 의지하여 깨닫는다, 『능가경』과 자교오종달마가 서쪽에서 온 까닭은달마
묻거나 들을 곳이 없는 선의 길,
미리 알고 가면 헤맬 일이 없다!
단숨에 읽히는 에세이 선종사(禪宗史
한국인에게 불교는 친숙한 대상이다. 하지만 한국불교의 요체라고 할 수 있는 선(禪은 생각보다 친숙한 대상이 아니다. 사람들은 선이라고 하면 단정한 자세로 앉은 스님이 참선하는 모습, 도무지 무슨 말인지 알쏭달쏭하기만 한 선문답, 그리고 깨달음을 떠올린다. 그런데 참선이나 선문답이나 깨달음이나 이런 것들은 무엇이고 왜 필요한 것일까?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도 속 시원한 답을 듣기 어렵다. 그저 뭔가 근엄하고 아득하기만 한 어떤 것으로 느껴진다.
이 책은 부드러운 에세이 형식으로 선불교의 역사를 풀어내며 우리를 선의 세계로 안내한다. 인도의 베다와 우파니샤드 사상에서 출발하여 초기불교와 부파불교를 거쳐 중국불교, 한국불교에 이르는 장구한 사유의 파노라마를 생생하고 명료한 한 줄기 선종사로 재구성해 낸다. 언어와 사변으로 설명하기 힘들다는 선이 도도한 흐름의 풍경화 속에서 홀연히 그 모습을 드러낸다.
한 사람의 일생에서 과연 몇 권의 책을 읽을 수 있으며 실참까지 해볼 수 있겠는가. 불교사는 차치하고라도 전문적으로 수행하거나 참선하는 출가자 외에도 참선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선종사를 이해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중략 만약 책 한 권으로 불교와 선종의 흐름을 파악하는 일이 가능할 수만 있다면 불교와 선종의 공부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좋은 일이기도 하고, 이는 나의 오랜 갈망이기도 하다. - 서문 중에서
저자의 말처럼, 이 책은 선불교를 공부하고 수행하는 사람이 선의 요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이란 무엇인가, 그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출발한다면 쉽지 않은 수행의 여정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일이 적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무엇보다 출가 수행자로서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입을 열면 그르친다’는 말이 강령처럼 받들어지던 시절, 참선하면서 든 여러 가지 의문을 해소하고자 많은 자료를 살펴보았지만 선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