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웃음/ 창조적 진화/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 동서문화사 월드북 74 (양장
저자 베르그송
출판사 동서문화사
출판일 2008-10-10
정가 20,000원
ISBN 9788949705019
수량
목차
웃음
머리말
제1장 모든 웃음에 관하여……13
제2장 상황의 우스움과 말의 우스움……46
제3장 성격의 우스움……79
부록……114

창조적 진화
서론
제1장 생명의 진화……125
기계론과 목적성
제2장 생명진화의 여러 갈래 방향……207
마비 지성 본능
제3장 생명의 의의에 대하여……279
자연의 질서와 지성의 형식
제4장 사유의 영화적 구조 및 기계론의 착각……352
철학 세계들의 역사 훑어보기, 실재적 생성과 거짓된 진화론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제1장 도덕적 의무……439
1. 사회적 질서와 자연의 질서?2. 사회 속의 개인?3. 개인 속의 사회?4. 저항에 대한 저항?5. 정언적 명령에 관하여?6. 의무와 생명?7. 폐쇄된 사회?8. 영웅의 호소?9. 개방된 영혼과 폐쇄된 영혼?10. 정서와 추진?11. 정서와 창조?12. 정서와 표상?13. 해방?14. 전진?15. 폐쇄된 도덕과 개방된 도덕?16. 폐쇄와 개방 사이?17. 자존심?18. 정의(正義?19. 강압과 동경?20. 주지주의?21. 생명의 약동?22. 훈육과 깨달음
제2장 정적 종교……523
1. 이성적 존재의 자가당착?2. 우화 기능?3. 우화 작용과 생명?4. ‘생의 약동’의 의의?5. 우화의 사회적 역할?6. 부분적인 인격들?7. 질서 파괴에 대한 보장?8. 의기소침에 대한 보장?9. 유용한 우화 기능의 일반적 주제?10. 자가 당착의 번성?11. 예측 불가능한 일에 대한 보장?12. 성공 의지?13. 우연?14. 문명인들의 원시적 정신?15. 마법?16. 마법의 심리학적 기원?17. 마법과 과학?18. 마법과 종교?19. 정령 신앙?20. 종족으로 간주되는 동물?21. 토테미즘?22. 신들에 대한 신앙?23. 신화적 상상력?24. 우화 기능과 문학?25. 어떤 의미에서 신들은 존재했는가?26. 정적 종교의 일반적 기능

제3장 동적인 종교……616
1. 종교라는 말의 두 의미?2. 왜 같은 말을 사용하는가?3. 그리스 신비주의
「웃음」
“웃음의 정체를 밝히려면 에누리 없이 150쪽의 논문이 필요하며, 더구나 그 논문은 아카데미의 문체가 아니라 화학의 문체로 쓰여야 한다.” 스탕달의 「라신과 셰익스피어」에서 ‘웃음’의 장에 적힌 말이다. 그로부터 약 70년 뒤인 1900년, 마치 그의 요청을 받아들이기라도 한 듯이 베르그송의 「웃음―우스움의 의미에 관한 시론」이 세상에 나타났다. 200쪽 정도 되는 소책자였다.
베르그송은 모든 희극적인 것을 파헤쳐, ‘생명적인 것에 덧붙여진 기계적인 것’이라는 중심사상을 찾아낸다. 그것이 희극적인 것이 되는 전제조건, 즉 그것을 바라보지만 감동을 느끼지 않는 사람의 마음을 주목하고, 거기서 나오는 웃음의 성격을 집단적?사회적 의미로 파악한다. 그리하여 웃음 또한 ‘사회생활을 방해하는 어떤 결점에 대한 징벌’의 기능을 가진다고 본다.
「웃음」은 금세 세상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켜, ‘웃음’의 본격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기존의 웃음에 관한 이론을 절충하여 보완한 베르그송의 시각은, 인간 감정의 충실한 발현 중 하나인 웃음을 이해하는 데 큰 길잡이가 된다.

「창조적 진화」
베르그송은 「창조적 진화」에서, 인식론과 생명론이 하나가 된 진정한 진화론, 진정한 생명철학을 확립하려 하였다.
「창조적 진화」는 머리말과 4장으로 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지금까지 과학자에 의하여 설명된 진화설을 비판한다. 과학적 진화는 크게 기계론과 목적론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하나의 학설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 비판하여 의론을 전개한다. 제2장에서는 적극적 자기논술에서 유명한 ‘생명의 약동(?lan vital’의 생각이 발표되고 있다. 여기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목적론적 생명관은 부정되고, 베르그송의 독창적 사상인 의식의 분열적 진화 이론이 설명된다.
제3장에서는 문제를 보다 철학적으로 심화하고, 특히 물질성이란 어떻게 하여 성립하는가를 풀이한다. 이것(어떻게 정신 또는 의식이 감각적으로 물질화되는가?은 베르그송 철학에서 최대 난문의 하나인데, 그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