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 협력과 집단지성
제1장 질서와 거버넌스의 이해
1. 질 서
2. 거버넌스
제2장 질서(거버넌스의 세 유형
1. 거버넌스의 이념형 분류
2. 하이어라키
3. 헤테라키
4. 아나키기능
5. 아나키의 가격과 하이어라키의 그림자
제3장 협력의 의의
1. 상호작용과 협력
2. 협력과 선택: 합리적 선택이론과 게임이론
제4장 협력의 방법
1. 사회적 딜레마
2. 협력의 방법들
제5장 네트워크와 협력
1. 네트워크와 공간적 구조
2. 반복게임과 협력규범의 발생
3. 네트워크 구조와 협력
제6장 웹(web 공간에서의 협력
1. 웹 공간에서의 협력의 특징
2. 위키피디아의 사례
3. 웹에서의 공공재 게임
제7장 복잡계 이론과 협력
1. 복잡계와 자기조직화
2. 행위자기반 모형
3. 집단화와 유형들
제8장 협력의 미래
결론 협력으로 집단지성 구현하기
부록1 집단지성 개념의 이해
부록 2 집단지성의 모형들
집단지성이라는 용어가 시대적 화두로 떠 오른 이후 상당한 기간이 지났다. 산재된 지식과 경험과 아이디어들을 모아 집단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사례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집단지성이 형성되는 과정의 핵심요소들은 몇 개로 나누어지지만 이를 합쳐서 표현하면 집단 내에서의 ‘상호작용과 협력’ 그리고 ‘질서와 거버넌스’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집단 속에서 구성원들이 협력을 통하여 질서를 만들고 집단지성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이다.
인류는 살기 위하여 협력해 왔다. 우리가 누리는 문명과 문화는 협력과 질서의 산물이다. 진화생물학자 마틴 노왁(Martin Nowak은 우리의 삶은 집단적인 기획에 의존한다고 하였다. 개인의 역량 못지않게 집단내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최근에 개인 전문가 또는 조직들이 집단지성 방식으로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모델로 컬렉티브 임팩트(collective impact란 조어도 등장하였다.
그렇다면 사람이나 집단은 이기심과 경쟁을 넘어 왜 그리고 어떻게 협력을 하는 것일까? 협력이 자기희생을 수반한다면 합리적인 행위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일까?
‘협력’은 집단 속의 개별 행위자들이 가진 능력과 구성원들의 다양성을 집단화하는 것을 말한다. 협력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질서’는 새로운 정보들이 모여 형성되는 집단의 형태를 말한다. 협력은 집단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로서 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양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원인, 조건, 방법 등이 관심의 대상이 된다. 질서는 무질서에서 질서로 가는 과정, 네트워크의 양상과 안정성, 질서를 형성하면서 새로운 창발을 만들어 내는지의 여부 등이 주된 연구 과제이다.
아울러 가상공간인 웹(web에서의 협력 양상도 탐구할 것이다. 정보화 사회를 넘어 초연결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는 가상공간에서 정보재를 통해 이루어지는 협력이 어떤 모습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협력을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든지 조율이 필요하다. 그 방법은 각 개인이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