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전히 ‘혼자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가능하게 할까?
“19호실로부터”의 여정
예술을 경유해, ‘여성’의 ‘자기다움’과 ‘안전한 공간’을 모색해가는 사유와 실천이 담긴 책 『19호실로부터』가 출간되었다. 『19호실로부터』는 202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의 다원예술 분야에 선정된 동명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나온 책이다. 예술활동가 제람, 문학평론가 오혜진, 시각예술 기획자 여혜진, 공연예술 기획자 고주영, 장애연극인 김지수, 트랜스젠더 활동가 박에디, 섬유예술가 무아, 글 짓는 사람 드므의 글을 더해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19호실로부터”는 도리스 레싱의 단편소설 「19호실로 가다」의 제목을 뒤집어 만든 이름이다. 설치미술, 영상, 서체, 출판, 워크숍, 전시 등 다양한 매체와 형식을 빌려 성소수자 군인, 난민, 미등록 이주민, 농인, 청소노동자 등의 서사를 조명해온 예술활동가 제람이, 소설 「19호실로 가다」를 읽고 나서 나만의 19호실로 가겠다고 선언한 어머니의 일을 사유한 끝에 구상한 프로젝트이다. 제람은 그간 이어온 일련의 예술활동 작업에서 소수자로 여겨지는 집단 안에서도 ‘여성’이 한층 소외당한다는 것을 포착했다. “일상에서 자기에게 ‘안전한 공간’을 찾지 못해 어딘가로 가야 하는 이들이, 대체로 ‘여성’으로 호명된다는 점에서 서로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그렇다고 모든 여성에게 ‘19호실’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없다. 게다가 ‘19호실’을 갈망하는 ‘여성’을 지정성별이 여성인 사람과 같다고 말할 수도 없고, 한정할 수도 없다. ‘19호실’로 가서 삶이 끝나는 게 아니라, 일상을 이어갈 동력을 마련할 수 있을지 사유해 보고 싶었다”(78~79쪽.
2022년 봄가을엔 작가 은유와 함께하는 두 차례의 ‘글쓰기 워크숍’을, 여름에는 안무가 공영선과 함께하는 ‘몸쓰기 워크숍’을, 겨울에는 다섯 예술가(공영선, 노윤희, 여혜진, 제람, 홍초선의 작품을 설치한 ‘19호실’을 제주에 만들어, 1박 2일간 홀로 머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