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헤겔의 예술 일반론
제1장_ 예술 종언론 : 체계와 역사, 그리고 예술
1. 철학 체계에서 예술의 위상
2. 역사 관점에서 예술의 종언
3. 예술의 현재성
제2장_ 예술 형식론 : 예술의 생명성과 삶의 예술성
1. 헤겔 미학에서 예술과 자연
2. 주관의 내면성과 낭만적 예술형식의 생명성
3. 예술의 생명성과 삶의 예술성
제3장_ 예술 천재론 : 천재, 영감, 그리고 독창성
1. 천재와 규칙
2. 예술적 영감과 독창성
3. 헤겔 천재론의 현대적 의미
제4장_ 예술 체계론 : 절대 정신으로서 예술
1. 『철학백과』와 예술
2. 예술의 규정-『철학백과』의 556절부터 560절까지
3. 예술의 분류-『철학백과』의 561절부터 563절까지
제2부
헤겔의 예술 장르론
제1장_ 건축론 : 낭만적 건축과 고딕
1. 예술 분류와 건축
2. 건축의 분류와 낭만적 건축
3. ‘세상의 축소판’으로서 고딕 건축
제2장_ 조각론 : 라오콘과 빙켈만
1. 빙켈만과 고대 그리스
2. ‘라오콘 군상’과 예술 장르론 문제
3. ‘고대 예술 모방론’에 대한 헤겔의 비판
제3장_ 회화론 : 네덜란드 장르화와 일상성
1. 낭만적 예술형식과 회화
2. 소재의 다양성과 정신의 현재성
3. 색채 표현과 정신의 빛
제4장_ 음악론 : 수수께끼로서 음악과 오르페우스
1. 음악과 헤겔
2. ‘수수께끼’로서 음악과 ‘예술 자체’
3. 음악과 시문학, 그리고 오르페우스
제3부
헤겔의 문학론
제1장_ 시인 추방론 : 플라톤과 헤겔
1. 플라톤의 시인 추방론
2. 헤겔의 ‘시인 추방론’ 해석
3. 플라톤과 헤겔의 관계
제2장_ 비극론 :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
1.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오이디푸스 왕』
2. 헤겔의 미학과 『안티고네』
3. 헤겔의 비극론과 『오이디푸스 왕』
제3장_ 희극론 : 아리스토파네스와 헤겔
1. 왜 아리스토파네스인가
2. 희극적 주체성
제1부 헤겔의 예술 일반론
제1장_ 예술 종언론 : 체계와 역사, 그리고 예술
헤겔의 ‘예술의 종언 선언’이 알고 보면 ‘예술의 죽음’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와 정신에 맞게 예술을 새롭게 재정립하려는 시도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제2장_ 예술 형식론 : 예술의 생명성과 삶의 예술성
헤겔이 미학에서 제시한 ‘세 가지 예술형식들’의 의미를 살펴보고, ‘생동적 예술’ 또는 ‘예술의 생명성[생동성]’이 헤겔 미학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제3장_ 예술 천재론-천재, 영감, 그리고 독창성
헤겔이 미학에서 예술의 기본 조건이 되는 천재와 영감 그리고 독창성에 관해 어떤 논의를 전개했는지를 살펴본다.
제4장_ 예술 체계론-절대 정신으로서 예술
헤겔의 『철학백과』에서 종교 및 철학과 함께 ‘절대 정신’에 자리하는 ‘예술’의 체계 내적 위치와 그 의미를 살펴 본다.
제2부 헤겔의 예술 장르론
제1장_ 건축론 : 낭만적 건축과 고딕
낭만적 건축을 대표하는 고딕 건축을 중심으로 헤겔의 건축론을 살펴본다.
제2장_ 조각론 : 라오콘과 빙켈만’에서는 ‘라오콘’이라는 조각 작품에 대한 빙켈만의 해석을 중심으로 헤겔의 조각론을 살펴본다.
제3장_ 회화론 : 네덜란드 장르화와 일상성
네덜란드 장르화를 중심으로 헤겔의 회화론을 살펴본다.
제4장_ 음악론 : 수수께끼로서 음악과 오르페우스
헤겔 미학에서 ‘음악’을 개별 예술 장르로만 제한하지 않고 그것이 ‘예술’ 자체 및 ‘철학’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제3부 헤겔의 문학론
제1장_ 시인 추방론 : 플라톤과 헤겔
플라톤의 ‘시인 추방론’ 또는 ‘예술가 추방론’을 헤겔이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살펴본다.
제2장_ 비극론 :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제시한 비극론을 헤겔이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제3장_ 희극론 : 아리스토파네스와 헤겔
왜 헤겔이 아리스토파네스를 최고의 희극작가로 극찬하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