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국제정세 변동과 한반도 안보환경의 도전
I. 머리말
II. 탈냉전기 국제질서의 축 미국 패권과 그에 대한 도전
III. 미중 전략경쟁과 국제안보
IV. 한반도의 안보환경
V. 책의 구성
VI. 맺음말: 안보환경의 변화와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역할
제1부 국제정세 변동과 안보·국방환경 평가
제2장 미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
I. 머리말
II. 바이든 정부의 안보, 국방 환경 평가 및 전략: 잠정 국가안보전략지침을 통해 본 미국의 인식과 전략
III. 미국의 국방전략 방향
IV. 미국의 인도태평양 군사전략: 대중 견제 전략
V. 핵심 분쟁 지역에 대한 미국의 대응: 남중국해와 대만
VI. 맺음말: 한국의 미래 대응
제3장 중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
I. 머리말
II.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중국의 인식
III.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중국의 대응
IV. 맺음말: 중국의 대응 평가와 한반도에 대한 함의
제4장 러시아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
I. 머리말
II. 푸틴 정부 권력체계와 외교 및 군사·안보 정책
III. 러시아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
IV. 푸틴 정부의 국가발전전략과 군사안보적 대응
VI. 맺음말
제5장 일본 국방정책의 변화와 우주정책의 안보화: 국제협조에 입각한 ‘보통국가’
I. 머리말
II. 냉전기 일본의 ‘비군사’ 국방정책·우주정책
III. 탈냉전기 일본의 ‘비침략’ 국방정책·우주정책
IV. 2010년대 일본 국방정책의 ‘보통국가’로의 방향성
V. 안보화하는 일본 우주정책의 국제협조 중심성
VI. 맺음말
제6장 북한의 대외 인식과 전략: 김정은의 ‘정면돌파’
I. 머리말
II. 냉전·탈냉전 시기 북한의 대외 환경 인식과 목표
III. 김정은 집권 초 북한의 대외 환경 인식과 전략
IV.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2018~2019년
V. 북한의 ‘정면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국제적 및 지역적 안보환경에 대해 진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획된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한국 주변국들의 안보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 전략의 방향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북한의 안보인식과 정책을 살피고, 2부에서는 이런 주변국들의 안보 관련 인식과 정책에 대하여 한국은 어떤 대응을 준비할 필요가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 있다.
1부의 첫 주제인 2장 “미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에서 전재성은 미국이 중국의 위협으로 인한 미국 이익의 침해를 가장 중요한 국가안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미국의 인식은 그간의 미중 무역 불균형, 코로나사태로 명확해진 공급망 취약성, 우크라이나 사태로 더욱 명확해진 중러 간 전략적 협력, 더 나아가 민주주의 연대에 대항하는 권위주의 연대의 형성 등에 주목하는 정책적 판단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외에도 국내, 국제 문제와 더불어 초국가적 문제 또한 중요한 위협으로 미국이 계속 인식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3장 “중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에서 김한권은 중국의 안보인식과 정책을 검토하였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리더 국가이자 ‘책임대국’으로서 미국과 대등하게 국제규범과 질서를 논의하고, 내부적으로는 타이완과의 통일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필자는 분석하고 있다. 한편 중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국에 대한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는 상승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애국·민족주의와 사상교육 강화 및 미중 전략적 경쟁의 심화는 한국과 다양한 영역에서 도전요인의 지속적인 발생이 전망되는 만큼, 한국의 정교한 대응이 요청된다는 필자의 제언은 충분히 숙고되어야 할 것이다.
4장 “러시아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에서 서동주는 “국제정세 변동과 안보환경, 한반도 그리고 항공우주산업의 미래”와 연계해 러시아의 국제정세와 대내외 위협인식 그리고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