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의 관점으로, 사건의 전말 없이 폭력 피해를 이야기하다
우리는 매체를 통해 선정적인 성폭력 사례를 접하곤 한다. 보도는 보통 범행 동기나 사건의 잔혹함 등 가해자의 서사 위주로 구성된다. 피해자 보호 차원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피해자에게 공감하는 것보다 가해자에게 분노하는 것이 더 손쉬운 정의 옹호 방법인 탓도 있다. 하지만 여기서 작가는 성폭력 이후 피해자가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성폭력이 한 인간의, 특히 아동과 청소년의 현재와 미래를 어떻게 뒤바꿔 놓는지 모두가 이해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 이해로부터 우리는 주변의 피해자들이 보내는 신호를 포착하거나, 비슷한 일을 겪었을 때 고통에 대처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그래서 작가는 피해자의 관점을 독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행복한 사람’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소년, 펠릭스를 만들어 냈다.
작가는 여러 가지 섬세한 묘사를 통해 펠릭스가 느끼는 복잡한 심리를 세밀하게 그려 낸다. 펠릭스는 성폭력을 겪은 후 ‘괴물’에게 시달리기 시작한다. 이 괴물은 언제나, 어디에서나 펠릭스의 주변에 도사린다. 그러다 바닥 타일 틈새로 기어 나오기도 하고, 전화기에서 튀어나와 펠릭스를 덮치기도 하고, 수많은 다리로 목을 조르기도 한다. 형태를 바꾸며 등장하는 괴물들이 바로 펠릭스가 느끼는 감정의 형상화다. 소설에서 자주 드러나는 또 하나의 묘사는, 개수를 세는 행동이다. 펠릭스는 폭력을 경험한 직후에도 울거나 화내지 않는다. 평소처럼 버스에 탑승하고, 평소와 달리 버스 손잡이를 센다. 그 이후로 펠릭스는 괴물에게 잠식당할 것 같을 때마다 집착적으로 길에 깔린 돌을 세고, 숲의 나무를 센다. 이런 펠릭스의 행동들이, 슬프다거나 화가 난다는 식의 직접적인 표현보다 더 그의 감정을 강렬히 드러낸다. 작가는 쭉 그런 방식을 사용해 조심스럽고 세심히, 청소년에게 적합한 언어로 피해자의 관점에 접근한다. 결국 펠릭스가 고통에 대처하는 법을 배우며 긍정적인 감정에 마음을 내주기 시작할 때,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