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글 · 4
1장 논의를 위한 지도
1. 정치 불신과 시민 참여: 1960년대부터 이어진 주요 정치사회적 흐름 · 15
2. 인물 중심 정치와 인물 지지 정치: 노사모, 시민 정치 전환의 시작 · 21
3. ‘팬덤 정치’와 포퓰리즘: 성역화된 개념의 문제들 · 29
2장 대통령을 만든 지지자들
1. 대통령 문재인의 등장: 문재인 신드롬 현상의 배경 · 39
2. 문재인 지지자의 기원: 지지자로 등장한 시민들 · 47
3. 호명된 권력자: 변화하는 지지 요인과 지도자의 자질 · 54
3장 절대 지지의 배후
1. 정당의 반역: 그들만 모르는 불신의 아이콘 · 65
2. 유착된 권력: 제재되지 않는 사회 권력의 위험 · 73
3. 시민의 참여 의지 강화: 절대 지지의 의미 · 79
4장 지지의 계보와 구도
1. 통합과 분산: 주요 ‘팬카페’의 계보 · 89
2. 비정형적 네트워크: 네트워크 사회의 개인화된 시민 참여 · 103
3. 개별 단위의 각개 전투: 연대의 재구성 · 111
5장 모래알의 이합집산
1. 제도적 정치 참여: 정치적 참여 행동 · 123
2. 비제도적 사회참여: 사회적 참여 행동 · 135
3. 응원봉 든 지지자: ‘팬덤 정치’ 낙인이 은폐하는 현실 · 145
6장 정치 불신 시대의 인물 지지 정치
1. 요약: 민주주의와 시민 정치 · 155
2. 제언: 시민편 · 166
3. 첨언: 정당편 · 172
주 · 178
도표 및 그림 출처 · 188
부록: 지지자들의 말 · 189
인물 지지 현상의 기원을 찾아서: ‘노사모’라는 분기점
‘팬덤 정치’라는 용어 대신 저자가 개념화한 ‘인물 지지 정치’란 사회 변화를 추진하기 위한 시민들의 새로운 참여 행동을 가리키며, 신뢰하는 행위자(정치인를 제도 정치 영역에 등장시키고 힘을 실어주려는 행위를 일컫는다. 정당이나 정책보다 인물이 우선시되는 경향은 과거에도 존재했지만(‘인물 중심 정치’,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과거의 그것과 차별화되는 ‘인물 지지 정치’가 발현되고 있다. 주권자 의식이 강한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사명감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정치인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사회에 참여하는 형태가 바로 그것이다. 시민들의 사회 권력 불신과 개인 미디어 확산, 개인의 원자화와 네트워크 일상화에 따른 개별 단위의 정치 행동이 이런 식의 인물 지지 정치를 추동한다.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금과 같은 인물 지지 정치가 등장하게 된 데는 역사적 맥락이 존재한다. 우선 한국사회는 민주화가 선언됐던 1987년 이전까지 관권과 동원을 기반으로 한 선거 권위주의가 지배적이었던 시기를 경험한 바 있다. 시민들은 긴 세월 억압당했던 사회 변화에 대한 갈망을 민주화운동 외에도 선거를 통한 최초의 정권 교체 요구로 드러냈고, 그 과정에서 김영삼·김대중같이 자신들의 뜻을 대변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정치인을 지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른바 ‘3김 시대’로 불린 1980~1990년대까지만 해도 시민들의 주된 정치 활동은 선거 투표나 청원서 서명, 정당 등에 소속되어 집회나 토론회에 참석하는 것 정도였다. 정치인 혹은 정당 중심으로 결성된 수직적 형태의 정치적 사조직이 중심이 되는 문화에서 시민들은 동원 대상에 가까웠다.
그랬던 정치 문화가 질적으로 크게 달라지기 시작한 것은 2000년에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가 등장하면서부터다. 노사모는 시민 동원 형태의 정당 혹은 정치인 주도 조직화라는 이전의 지배적 형태의 정치 문화와 결을 달리한 최초의 시민 결사체였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