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부 변화를 읽는 교회의 회심
김도일 _ 진정한 회심에 관한 고찰
I. 들어가는 말
II. 기독교의 대사회적 이미지
III. 회심의 의미
IV. 회심 대(對 양육 논쟁
V. 기독교 역사에 족적을 남긴 다섯 인물의 회심기
VI. 온전한 회심론의 두 가지 고찰
VII. 나가는 말: 진정한 회심을 위하여
양혁승 _ 변화관리의 생태적 접근법
Ⅰ. 들어가는 말
II. 교회가 변화관리를 고민해야 할 이유
III. 뷰카(VUCA 환경에서의 변화관리 접근법
IV. 자생적 변화를 가능케 하는 조직
V. 변화를 이끌어가는 리더십
IV. 나가는 말
안정도 _ 언어의 전환: 교회, 행복,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Ⅰ. 들어가는 말
Ⅱ. 교회, 강단과 시청
III. 첫 번째 피벗 언어: 행복
IV. 교회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다!
V. 나가는 말: 동네 교회, 동네 사람으로의 언어 변화
한국일 _ 신학적 회심을 유발하는 변화의 동기와 메커니즘(작동원리에 관한 연구
Ⅰ. 들어가는 말
Ⅱ. 신학적 회심과 목회 패러다임의 전환
III. 변화의 사례 분석
IV. 신학적 사유를 통한 변화 과정에 대한 이해: ‘신학적 인식’과 ‘신학적 확신’의 구별과 상호 교류
V. 지속적 회심과 성숙을 향한 변화
VI. 나가는 말
황인성 _ 저항하는 공동체를 향하여
Ⅰ. 들어가는 말
Ⅱ. 탐욕이 정당화되는 사회
III. 성경이 말하는 저항의 영성
IV. 순응에서 저항으로
V. 나가는 말
2부 현장의 시각에서 본 교회의 실천적 변화
이명석 _ 뷰카(VUCA와 팬데믹 시대에서의 한국교회의 제자 훈련 ― 수원성교회 사례
Ⅰ. 들어가는 말
Ⅱ.‘제자’의 의미와 활용
III. 한국교회 제자 훈련의 사례 분석 ― 수원성교회(통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IV. 제언: 하나님 나라 관점에서의 제자 훈련
V. 나가는 말
책 속에서
하나님의 피조물은 그가 흙이든 물이든 공기든 동물이든 식물이든 아니면 인간이든 간에 모두 창조주가 만든 생태계 속에서 서로 연관 지어 살아가게 창조되었다. 이는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가게 되어 있으며 결코 혼자서는 생존할 수 없게 만들어졌다는 말이다. 교회는 상호 간에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예배하고 친교하며, 섬기고 나누는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공동체이다. 또한 예수를 주인으로 믿고 그를 통해 하나님께 나아가기를 추구하는 믿음 공동체인 교회의 정의(definition를 재확인하면, 교회는 “만물 안에서 만물을 충만하게 하시는 이의 충만”(엡 1:23이다. 성경에 기록된 정의에 의하면 만물을 떠나서는 교회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의 피조세계 속에서 상호 간의 연대와 교류와 채워줌을 통하여 본래적으로 피조된 존재 목적을 이루어 갈 수 있는 것이다.
「김도일 _ 진정한 회심에 관한 고찰」 중에서
다방면에서 다층적으로 일어나는 우리 사회의 변화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와 필요를 지속적으로 야기한다. 교회는 시대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세상을 하나님 나라의 복음으로 섬기고 리드하기 위해 각 시대 변화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고, 새롭게 제기되는 시대적 과제에 대한 적절한 복음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이 시점에도 한국교회는 지구촌과 우리 사회가 당면한 다양한 문제들―기후 및 환경 위기, 4차 산업혁명이 불러올 대격변, 국제 질서의 재편에 따른 긴장 고조, 국가주의의 부상, 남북 사이의 대립과 갈등, 불균형과 양극화, 세대 간 갈등 등―에 대해 하나님 나라의 원리와 가치에 맞는 대안을 제시하고 앞장서 실천할 것을 요청 받고 있다.
「양혁승 _ 변화관리의 생태적 접근법」 중에서
변화와 개혁은 개신교 교회의 정체성이다. 이 정체성을 오늘날 교회에서 보존하고 이어가기 위해서 우리는 공동체성에 대한 기초적이면서도 성찰적인 질문을 던져봐야 할 것이다. 변화하는 교회를 위하여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