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세계 최고의 종이 한지 : 정책이 필요하다
저자 박후근
출판사
출판일 2023-06-09
정가 25,000원
ISBN 9788963126258
수량
저서 요약 4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3
제2절 연구 목적 18
제3절 연구 대상 및 구성 20

제2장 이론적 논의
제3절 전통문화의 개념과 정책 37
1.전통문화의 정의37 2.문화국가와 문화정책40
3.전통문화 관련 법률의 주요 내용44 4.전통문화정책의 변천 62
제2절 전통한지의 개념과 정책 83
1. 전통한지와 한지의 정의83 2. 전통한지와 한지의 새로운 개념 모색94
3. 전통한지 정책의 목표100 4. 전통한지에 관한 개별법 제정 추진102
제3절 한지정책에 대한 선행연구 104
1. 중앙정부의 한지 연구 동향104 2. 학계의 한지 연구 동향108
3. 선행연구의 비판적 검토112
제3장 정책도구 이론과 연구 문제 도출
제1절 정책도구 이론 117
제2절 연구 문제의 도출 122
제3절 분석대상 및 자료 124

제4장 전통한지정책 도구유형 분석
제1절 연구 목적 129
제2절 연구설계 130
1.연구의 분석틀130 2.연구자료131 3.분석 방법134
제3절 분석 결과 135
1.정책기반135 2.정책도구138
제4절 소결 161

제5장 전통한지 진흥정책 선호도 분석
제1절 연구 목적 167
제2절 연구 설계 168
1.계층구조 설정 및 구성요소 도출168 2.계층분석법(AHP 적용179
3.연구자료 및 분석 방법(상대적 가중치 종합180
제3절 분석 결과 184
1.1계층 설문조사(상위정책185 2.2계층 설문조사(하위정책189
3.1∼2계층 설문조사(종합200
제3절 소 결 203
제6장 전통한지 진흥 관련 제반 정책 고찰
제1절 연구 목적 209
제2절 정책기반에 관한 문제 210
1.한지에 관한 법률·조례 제정과
책 한 권이 만들어지기까지
-
필자는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전통문화로 한복, 한식(장류, 숟가락 등, 한옥(온돌 등, 한지, 한글, 한국음악 등을 떠올리곤 했다. 전통한지 정책을 연구하게 된 계기는 약 9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3년 말, 국가기록원 근무 시 동료 학예연구관의 “한지업체는 폐업이 속출하는 등 위기”, “한지를 납품하는 한지장이 편찮으시기라도 하면 일본 종이를 수입해야...”라는 말을 충격으로 받아 들였다. 이에 2014년 초, ‘기록용한지 연구모임’을 만들어 활동을 시작했다. 전주시 등 담당자에게 “한지육성 조례를 왜 만들지 않느냐”고 묻기도 했다. “상위법에 근거가 없어 조례 제정이 불가하다”는 대답에 대해, “상위법에 하라는 근거도 없고 하지 말라는 근거도 없으면 조례 제정이 가능한 것 아닌가?”라며 되묻기도 했다. 필자의 전화가 조례 제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전주시에서는 2016년, 의령군에는 2017년, 안동시에서는 2018년에 한지 육성 조례를 제정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전주시·의령군·안동시는 ‘전통한지’와 ‘시·군한지’의 정의를 다르게 정립함으로써 수입 닥과 기계장치로 만든 경우에도 한지에 포함될 수 있는 빌미를 주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경상북도 한지산업 진흥조례’ 등을 참고해서 해당 조례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

행정안전부는 2009년 3월, 훈장 등 정부포상 용지의 보존성과 품격을 높이기 위해 ‘일반 양지’를 ‘전통한지’로 바꾸기로 하고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하지만 이때부터 적용된 종이는 100% 국산 닥으로 만든 한지가 아닌, 수입 닥 펄프와 목재펄프를 혼합한 종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광복 70주년을 맞이한 2015년, 문화재 위원을 역임했으며 전통문화에 대한 혜안을 지닌 정종섭행정자치부장관은 상훈의 영예성을 제고하고 전통문화의 원형을 회복한다는 취지에서 ‘훈장용지 개선사업’을 착수했다. 2015년 6월, 김호석 수묵화가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고 박재목 의정담당관, 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