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수학공부, 그거 재미있는 거야?
Part 1. 수
1. 1, 2, 3…. 수는 왜 0이 아닌 1부터 셀까? [자릿값과 0]
2. 다른 숫자 친구들과 달라도 너무 다른 0, 자연수일까 아닐까? [자연수의 정의]
3. 난 나로 이루어져 있다? 약수에는 왜 자기 자신도 포함될까? [약수의 조건]
4. 0이나, 2/3 같은 분수도 약수에 끼워 주면 안 될까? [약수의 성질]
5. 소수인 듯 아닌 듯, 1의 소속은 어디일까? [소수와 1]
6. 분모와 분자에는 꼭 자연수만 들어가야 할까? [분수의 성질]
7. 분수 소수 모여라! 어느 편의 개수가 더 많을까? [분수와 소수의 관계]
8. 수직선을 엄청 길게 늘이면, 무한을 표시할 수 있을까? [수와 수직선, 무한]
9. 왜 자연수를 (양의 정수라고 달리 부를까? [자연수와 정수]
10. 혼자라서 쓸쓸해, 0에도 +0이나 ?0이 있을까? [플러스(+와 마이너스(-]
11. -10kg처럼 음수 무게를 가진 사물은 없을까? [양수와 음수]
Part 2. 연산
12. 1+1=2, 생김새가 다른데 무엇이 같다는 걸까? [등호의 의미]
13. 3-5처럼 작은 수에서 큰 수를 뺄 생각을 왜 했을까? [뺄셈과 음수]
14. 나눗셈 구구단도 있을까? [사칙연산과 구구단]
15. 곱셈 나눗셈아, 새치기 하지 마! 왜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할까? [혼합계산 순서]
16. 3+4가 4+3과 다르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연산의 법칙]
Part 3. 도형
17. 어떤 건 동그라미 어떤 건 원, 차이가 뭘까? [모양과 도형의 차이]
18. 선이 얼마나 짧아지면 점이 될까? 개미 똥보다 더 짧게? [점과 선의 정의]
19. 직선과 곡선, 사이좋게 하나로 묶을 수 없을까? [직선과 곡선]
20. 마땅한 자도 없는데, 한강의 길이를 어떻게 잴까? [곡선의 길이]
21. 왜 90도에만 특별히 ‘직각’이라는 이
“이 아이는 무슨 공부를 해도 결코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
한 아이에 대해 고등학교 선생님이 생활기록부에 기록한 말입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천재 수학자이자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입니다. 아인슈타인은 어려서부터 틀에 갇힌 학교 공부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선생님들은 아인슈타인의 재능을 아주 낮게 봤죠. 암기하고 정해진 정답만 공부해야 하는 학교 공부만을 강요하기만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시선을 비웃듯, 아인슈타인은 자유로운 상상력과 사고력으로 훗날 ‘상대성이론’을 포함해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가 만약 수학을 교과서라는 틀 안에서만 공부했다면 이렇게 되지 못했을 겁니다. 때로는 그 틀을 과감하게 깨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질문을 던지며, 수학을 단순한 공부가 아니라 질문하고 탐구하는 대상으로 여겼죠.
교과서에서 묻지 않는 질문으로 수학을 다르게 접해 보자!
아인슈타인처럼 사고할 수 있는 특별하고 재미있는 수학 시간!
초등학생이 되면 본격적으로 수학 공부를 해야 합니다. 수학은 학년이 올라갈 때마다 전 학년에서 배웠던 지식을 가지고 응용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초등학생 때 수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면 이후 공부에 어려움을 겪을 확률이 높습니다. 초등학생 때는 수학에 흥미를 붙이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죠.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수학을 좀 더 재미있게 접할 수 있을까요? 아인슈타인처럼 틀에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수학을 상상해 보면 가능합니다. 정해진 답만 생각하지 말고 ‘왜 이럴까?’ ‘과연 그럴까?’ 하는 의문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이 책에서 얘기하는 질문들을 같이 생각해 보며, 아이가 스스로 수학 세계를 탐험할 수 있다면 수학에 재미를 붙일 거예요.
+0이나 ?0도 있을까요? [플러스와 마이너스]
-10kg 같은 음수 무게를 가진 사물은 없을까요? [양수와 음수]
왜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해야 할까요? [혼합계산 순서]
각이 3개면 무조건 삼각형일까요? [삼각형의 정의]
수학을 익히며 아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