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하고, 창조하고, 살아가는 새로운 방식에 대하여
여성이나 소수자 불평등이 구조적인 문제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젠더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한국의 정치 현실에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여러 철학 개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무엇보다 들뢰즈주의 페미니즘은 젠더 정치가 어떤 페미니즘 운동에서든 그 자체로서 목적이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젠더 정치에 휘둘리는 현실에서 들뢰즈주의 페미니즘이 지금, 여기, 우리에게 어떻게 사유의 깊이와 단단함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 이 책의 저자 한나 스타크의 논의를 따라가 보자.
1장 “사유”는 서양 역사에서 사유와 담론이 지닌 남성중심주의적 성격을 고찰하면서 페미니즘의 역사적 발생이 계몽주의와 자유주의 휴머니즘의 보편주의에 내재된 ‘배제’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과 연관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나아가 계몽주의적 사유와 주체 모델에 대한 근본적 대안을 제시하는 들뢰즈의 사상이 페미니스트들에게 유용한 아군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2장 “되기”에서는 들뢰즈가 동일성(정체성의 대안으로 제시한 ‘되기’ 개념이, 왜 관계 맺기의 새로운 방식을 산출하게 되는지, 그리고 생성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또 《천 개의 고원》의 열 번째 고원에서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여성-되기, 아이-되기, 동물-되기, 식물-되기를 거쳐 기본입자-되기, 세포-되기, 분자-되기, 지각불가능하게-되기 등 되기의 연속체적 윤곽을 보여준다. 더불어 뤼스 이리가레, 앨리스 자딘, 로지 브라이도티 같은 페미니스트 학자들의 들뢰즈 작업에 관한 초기의 비판적 평가도 소개한다.
3장 “욕망”은 주로 《안티-오이디푸스》를 중심으로 정신분석학에 대한 들뢰즈와 가타리의 문제 제기와 생산으로서의 욕망과 무의식이란 새로운 이론을 설명하고, 특히 그들의 이론이 페미니즘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인 섹슈얼리티와 에로티시즘를 새롭게 사유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살펴본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욕망을 결핍과 부재로 정의하는 정신분석학, 특히 욕망을 가족구조 안에 놓으면서 제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