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제Ⅰ부 서장
제1절 연구 대상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Ⅱ부 김일성 통치체제의 유형과 변화
제1절 민족주의를 내장한 사회주의국가 체제형성
1. 주체사상 속의 민족주의 내면화
1 북한 민족주의 개념
2 북한 민족주의적 성격
2. 북한 민족주의관의 변천
1 북한 사회주의의 민족주의적 정향
2 주체사상과 민족주의적 요소의 내면화
3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우리식 사회주의의 전면화
3. 김정은 애국주의의 등장
소결: 북한 민족주의 일반화와 추상화
제2절 북한식 사회주의국가 형성과정
1. 해방공간의 시대적 배경: 이념적 고찰
1 자산 계급성 인민민주주의 도입과 실천
2 연합성 신민주주의와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 혼용(만주파, 연안파, 남로당파
2. 민족통일전선을 통한 좌익세력 결집
3. 군중노선을 중심으로 한 토지개혁 및 사회개혁
1 토지개혁
2 사상의식개혁: 건국사상 총동원 운동과 군중노선
제3절 중앙협력적 통치체계
1. 개요
2. 당·국가 체제의 이데올로기 수립과 개혁
1 당·국가 체제의 수립과 개혁
2 당 대회를 통해 나타난 계파별 협력과 갈등 분석
3 전후 김일성 단일정권의 배경: 인민민주주의 독재
3. 연합정권의 구성과 전시동원 내각체제
1 연합정권 구성
2 전시동원체제와 김일성의 군사 지휘권 상실
4. 북한 군사화의 토대형성과 정치적 숙청
1 군사화의 토대형성
2 단일체계로의 군 통제강화: 정치적 숙청
5. 지방정권기관: 지방인민위원회
1 중앙·지방 관계의 기본적 틀
2 지방인민위원회
제4절 중앙일체적 통치체계
1. 파벌 간의 정치투쟁
1 김일성의 대중주의 연합과 연안파의 군중노선
2 파벌(만주파와 연안파 간의 협력과 갈등
2. 연안파의 조직 성향 분석과 종파 사건
1 연안파의 조직 성향 분석
2 종파 사건
3. 단일·유일적 지배체계구축
1 대중주의 군중노선: 현지지도 이론적 배경과 실천적 의미
가
북한의 원시형 세습수령통치체계와 지도층을 통한 북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북한은 사회주의국가에서 볼 수 없는 원시형 세습 권력체제로 진행 중이다. 김일성, 김정일, 그리고 김정은으로 이어져 온 이 수령제 통치체계의 흐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쉽게 예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3대에 걸친 세습통치체제의 흐름 속에서 권력의 메커니즘 변화는 분석하며 전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 명의 수령제 지도자와 권력 엘리트와의 관계 속에서 원시형 세습 권력 통치체제의 변화과정을 1 중앙협력적 통치체계, 2 중앙일체적 통치체계, 3 중앙집중적 통치체계, 4 중앙통합적 통치체계라는 네 가지의 새로운 형태로 설정하고 국가의 통치변화과정과 특성을 연구했다. 특히 저자가 원시형 세습통치체계 변화과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되었으면 했던 바람은 기존 북한 연구의 틀을 존중하면서도 그동안 간과했던 자칫 수령체제의 단일적 틀에서 묶여 있을 수 있는 통치체계를 세분화하는 것이었다. 이 책은 그 영역을 확장시키는 실험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점에서 쓰여졌다.
시대의 변화에서 영원한 것은 없다. 북한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수령제 틀 속에서 원시형 통치 메커니즘은 시대적 상황에 적응해 나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북한연구의 미시적 접근 또한 필요하다. 남북한 관계에서 북한을 연구하거나 관심을 가지는 누군가가 이 책을 읽게 된다면, 북한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 통일 한반도 미래상을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