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_ 박인찬·하홍규
1장 포스트트루스와 혐오정치: 워드 켄들의 『오늘을 견뎌라』 _박인찬
2장 혐오에 대한 도덕철학적 고찰 _양선이
3장 혐오의 이중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_박승억
4장 혐오와 문학: 혐오와 문학의 공진화와 전망 _강미영
5장 혐오와 화해하기: 인공지능 그리고 칸트 _김형주
6장 혐오와 정신분석: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 이론을 중심으로 _이재준
7장 혐오의 학습과 확장: 미각 혐오 학습을 중심으로 _최준식
8장 혐오와 비판이론: 편견을 통한 사회적 증오 행위의 정당화와 그에 대한 대응 _권오용
9장 혐오와 비인간화: 코로나19 맥락에서 본 차별과 배제의 정치 _하상응
10장 미디어 혐오 표현에 대한 인식과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_심재웅
혐오는 결코 우리의 삶에서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문제는 이 시대가 ‘혐오 시대’라고 부를 만큼 그 냄새가 견딜 수 없이 심하게 고약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혐오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혐오 주제에 천착하여 연구를 계속하겠지만,
결코 혐오의 늪에 빠져 허우적대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혐오를 넘어 공감의 길로 나아가고자 한다.
『혐오이론 II: 학제적 접근』은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의 학술연구총서 시리즈 여섯 번째 책이다. 사업단은 인문한국 사업의 일환으로 ‘혐오 시대, 인문학의 대응’이라는 어젠다 연구를 진행 중인데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혐오 현상의 복잡성에 부응하는 다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혐오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현실이 우리 모두에게 던지고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우리의 삶 속에 너무나 적나라하게 표현되고 있는 -사람들이 이제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감추어야 할 필요를 더 이상 느끼지 못하는 듯하다- 혐오는 우리 사회의 감추어진 문제를 드러내는 징후요 증상이다. 혐오와 관련된 사건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사회 공동체의 파괴요 언제라도 실체화될 수 있는 상존하는 위험의 증거이다. 인문학은 오늘날 혐오 사회의 현실에 공명할 수 있어야 한다. 사업단은 철학, 문학, 역사학 등 인문학의 여러 분야뿐만 아니라 과학기술학, 예술 등을 가로지르는 횡단적인 혐오학의 발전을 추구한다.
횡단적인 혐오학 발전을 위한 첫 번째 시도로서 펴낸 『혐오이론 I: 학제적 접근』에서는 혐오에 접근하는 다양한 이론과 관점(여성학, 정동학, 정치철학, 심리학, 역사학, 진화론, 법학, 미학, 사회학을 제공함으로써, 혐오 시대에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대응의 초석을 마련했다. 그러나 『혐오이론 I』이 매우 다양한 학문의 혐오 이론을 담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업단은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여겼다. 그래서 더 다양한 학문의 이론들을 담아야 하겠다는 필요 의식 속에 『혐오이론 II』을 기획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