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천문풍수론
제1장 천문풍수
1. 천문풍수의 정의
2. 천문풍수의 원리
3. 천문풍수의 역사
제2장 천문풍수학의 법칙
1. 음양과 오행의 개요
2. 음양오행의 원리와 운행법칙
3. 팔괘와 하도낙서
4. 구성법
5. 십이포태법
6. 정음정양법
7. 음양오행의 신살 길흉방위
제3장 나경패철론
1. 나경의 기원과 개요
2. 나경의 측정방법과 원리
3. 9층 나경의 층별 사용법
1 제1층과 제2층의 팔요살 및 황천살
2 제3층의 삼합오행론
3 제4층~9층 방위사용법
제4장 용맥론
1. 용의 정의
2. 용의 분류
3. 용의 생사
4. 용법론
제5장 혈세론
1. 혈의 개요
2. 혈의 종류
3. 혈토의 조건
4. 정혈법
제6장 사세론
1. 사격의 개요
2. 사격의 종류와 길흉사
3. 사격의 길흉방위
4. 사격과 형국론
제7장 수세론과 향법론
1. 수세의 개요
2. 수세의 종류와 길흉
3. 수법론
4. 향법론
제2부 양택풍수론
제1장 황제택경의 양택풍수
1. 황제택경의 양택이론
1 황제택경의 저자와 성립연대
2 황제택경의 판본
3 황제택경이전의 양택서와 진·한대의 주거문화
2. 황제택경의 구성내용과 방위체계
1 황제택경의 구성과 내용
2 음양의 심화적 방위체계
3 음택과 양택의 방위택일체계
4 음양방위론
5 공간길흉론
6 시간택일론
제2장 양택삼요의 양택풍수
1. 양택삼요의 동서사택론
1 양택삼요의 저자와 성립연대
2 양택삼요의 현행본
3 명·청대의 주거문화와 양택풍수
2. 양택삼요의 구성내용과 방위체계
1 양택삼요의 구성과 내용
2 동서사택 팔괘오행론의 방위체계
3 삼원과 본명궁의 방위체계
4 팔괘방위론
5 공간길흉론
3. 조선시대 양택의 실제사례를 통한 방위관 비교
4. 현대양택의 기본배치원리
제3부 풍수 실무론 및 원전
제1장 실무론
1. 음택 법칙론
2. 압살법(壓殺法
3. 양택 택일법
제2
천문풍수는 천지인삼재사상이 근본바탕이다. 천문의 역할에 따라 산야(山野를 중심으로 바람과 물, 자연형세를 살펴 국가나 도읍지를 정해 국가의 번영과 발전을 도모하며, 나아가 개인이나 가족의 부귀와 발복(發福을 위해 생기가 있는 터를 찾아 길흉을 판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풍수지리를 담당하는 사람들을 감여가(堪輿家라고 칭한다. 감여(堪輿와 같은 의미인 건곤(乾坤은 하늘과 땅이며 천도(天道와 지도(地道이자 음양이다. 산은 음이요 물은 양인 천문풍수는 천지만물의 운행원리인 음양이 핵심원리가 된다.
태도(台島의 속언에서 말하길 일류지사는 북두칠성을 바라보고, 이류지사는 앉아서 수구(水口를 보며, 삼류지사는 산을 어지럽게 달리고, 사류지사는 산머리를 파고 흙을 채운다고 하였다. 감여의 중요성을 따져 지사(地師의 등급을 구분한 이유는 하늘과 땅을 함께 알아야 일류지사에 속한다는 것이다.
풍수의 용어는 택거술(宅居術에 대한 명칭으로 한대(漢代이전에는 없었다. 이후 회남자, 사기, 논형, 한서예문지 등에 택거술(宅居術의 명칭이 나타났다. 이것은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을 하나의 틀로 보는 감여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땅을 위주로 하는 지리와는 약간 차이가 있으나 풍수지리학을 감여학이라고 한 것은 천지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기 때문이고, 동시에 음양적 관념의 표출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마디로 천문풍수는 천지인삼재사상을 바탕으로 땅의 형세와 지기(地氣를 살피고, 생기가 있는 산과 땅을 찾아내어 형세와 방위(方位를 통해 명당과 혈처를 찾아 용·혈·사·수·향(龍·穴·砂·水·向에 맞추어 길흉을 예단한다.
지구자체는 하나의 자기장으로 형성된 에너지 덩어리이자 우주로부터 기운을 받고 있다. 따라서 산이나 땅속에도 분명한 에너지의 흐름이 존재한다. 천문풍수에서는 이러한 에너지를 생기(生氣라 칭한다. 하늘의 기운과 함께 땅속에 존재하는 생기를 만들고 응집시키는 역할은 바람과 물, 청룡·백호·주작·현무의 사신사(四神砂가 그 역할을 맡고 있다.
천문풍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