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을 제거하시겠습니까?
잡음 없이 자신이 듣고 싶은 소리만을 또렷이 들려주는 기술, 노이즈캔슬링은 오래전 발명되어 1970년대 후반 헤드폰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기술이 더욱 빛을 발하게 된 것은 언제 어디에서든, 어느 기기와도 무선으로 연동되는 최근에 이르러서다. 사람들은 대중교통에서, 작업실에서, 도서관에서 블루투스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을 착용하고 자신이 유의미한 신호로 선택한 소리에만 귀를 내어준다. 하지만 본래 귀는 관점이 없고 소리를 거르지 않는다. 기술이 거를 뿐이다.
미국에서 호평받은 팟캐스트가 원작인 『다른 방식으로 듣기』는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이 보편화된 이후 사람들이 무엇을 어떻게 듣고 있는지 살핀다. 아니, 무엇을 어떻게 듣지 않고 있는지 살핀다는 것이 더 정확하다. 록밴드 갤럭시 500의 멤버였던 저자는 자신의 음악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비평가, 역사학자, 레코드숍 운영자, 이과병원 귀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대해 지금의 듣는 방식을 탐구한다.
실시간으로 듣고 있다는 착각
유튜브로 야구 경기를 시청하는 사람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카메라가 있다면, 재미있는 광경경을 보게 될 것이다. 야구장에서는 4번 타자가 홈런을 쳐 관중석이 환호성으로 뒤덮였는데, 유튜브 시청자들은 아주 조금 늦게, 그리고 각기 다른 시점에 환호할 것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정보 스트림을 제각기 받아서 재생하는 기기마다 레이턴시가 다르기에 발생하는 현상이다.(17쪽 디지털 방송이 등장하기 전, 라디오를 통해서 야구 중계를 듣던 때에는 볼 수 없었던 장면이기도 하다. 야구장에서 환호가 울릴 때, 라디오를 듣던 사람들도 차 안에서, 집 안에서 같은 순간에 환호할 수 있었다. “읽으면 역사고, 들으면 뉴스다”라는 라디오 방송계의 격언이 유효했던 때였다.(16쪽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모두가 즉각적으로 연결돼 있다고 여겨지지만, 사실 시간적인 순서가 온통 꼬여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소셜 미디어의 타임라인은 어제의 속보도 오늘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