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1장 자숙 경찰과 신자유주의
재난과 함께 되풀이되는 정의의 폭주
총동원 체제를 위한 상호 감시
자기책임론과 신자유주의 개혁
동조 압력과 생존을 위한 압력 사이에서
강자에 대한 지향과 약자에 대한 배려
누가 약자인가
코로나 재앙의 경험을 기회로
2장 소셜 미디어의 논리와 신자유주의 정신
아르바이트 테러 소동을 둘러싼 플레이밍
비난하기 때문에 범죄가 된다
게시자, 고발자, 질책자
규범 형성의 의식
조우형에서 실연형으로
자기 연출 시장
반감을 통한 공감
저지르는 유형에서 해설하는 유형으로
도덕적 기업가의 시대
평가를 위한 경쟁, 감시하에서의 제재
3장 해시태그 운동의 명과 암
검찰청법 개정안 항의 운동과 BLM(Black Lives Matter 운동
인덱스에서 프레임으로
콜렉티브에서 커넥티브로
비익명성에 따르는 책임성
발언력의 불균형과 정보 캐스케이드
깨어 있는 자로서의 자기 연출과 집단 극화
사회 운동인가 군중 행동인가
4장 차별과 반차별과 반 · 반차별
나이키 광고를 둘러싼 플레이밍
반차별 마케팅의 수법과 의도
우파의 공격과 좌파의 비판
차별의 상
반차별의 상
반·반차별의 상
전술로 사용되는 혐오 발언
전술로 사용되는 가짜 뉴스
소박한 차별주의와 과격한 반·반차별주의
포스트모던 현상으로서의 반·반차별주의
자유주의 이념과 상업주의의 편리
5장 악성 게시물과 공감시장주의
왜 노력하는 자가 두들겨 맞는가
인터넷 악성 비방의 간단한 역사
투과성과 익명성의 불균형
무례한 팬이 ‘최애’를 공격한다
공감과 반감의 모순
공감지상주의 풍조
공감 개념의 전후 민주주의적 전환
공감 개념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6장 캔슬 컬처의 논리와 모순
올림픽 직전의 사임·해임 운동
미투 운동과 오바마의 집념
BLM 운동과 하퍼스 레터
자유주의 규범, 불관용성, 과거 행위의 문제화
최초의 수단인가, 최후의 수단인가
다양성과 다의성, 사회 변혁과 인간
악성 댓글, 사이버불링, 해시태그 운동, 캔슬 컬처……
누가, 왜 논란에 불을 붙이고 화재를 일으키는가
플레이밍의 사회적 의미와 맥락을 밝힌다!
인터넷이 등장한 이후, 우리는 매일 엄청난 양의 정보가 쏟아지고 논란이 끊이지 않는 세상을 살아간다. 유명인의 소셜 미디어에 악성 댓글을 달거나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관심을 받기 위해 경솔하게 게시물을 올리는 사람도 많아졌다. 하지만 온라인상의 논란이 반드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익명성이 보장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다가 좋은 결과물을 도출해내기도 하고, 논란이 해시태그 운동과 같은 온라인에서 벌어지는 사회 운동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것들이 이제는 일상이 되어버린 이 사회를 우리는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여야 할까?
이 책에서는 ‘활활 타오른다’는 의미로 비난, 비방 등의 글이 빠르게 올라오는 것을 지칭하는 ‘플레이밍(flaming’ 현상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플레이밍은 부정적으로 인식되지만, 이 책에서는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모두 다룬다. 온라인 커뮤니티나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악성 게시물, 사이버불링, 해시태그 운동, 캔슬 컬처 등 플레이밍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오늘날 사회가 어떤 대립 구조와 분쟁 상황을 안고 있고, 그 배경에는 어떤 사회 구조와 시대 상황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와 함께 사람들의 감정, 욕망, 이데올로기 등에 주목하는 동시에 그 문맥을 이루는 요소와 정치, 경제 등의 동향을 파악해 플레이밍 현상의 사회적 의미와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
관심받고 싶은 마음, 소수자를 도우려는 마음, 깨인 사람이라는 의식……
다양한 욕망과 갈등이 모여 플레이밍 사회를 만든다
1장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벌어지면서 생겨난 움직임을 다룬다. 코로나19라는 재앙이 닥치면서 일본에서는 늦게까지 영업하는 점포나 돌아다니는 사람을 보면 신고하거나 소셜 미디어에 올리고, 외지에서 온 자동차를 발견하면 흠집을 내는 등의 방법으로 징벌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