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 해방(1945년 8월 15일
2. 미군정(1945년 9월 9일
3. 모스크바 3상 회의(1945년 12월 26일
4. 10월 항쟁(1946년 10월 1일
5. 제주민중항쟁(1948년 4월 3일
6. 제헌의원 선거(1948년 5월 10일
7. 반민특위 해산(1949년 6월 6일
8. 농지개혁법 선포(1950년 3월 10일
9. 제 2대 국회의원 선거(1950년 5월 30일
10. 6.25 전쟁(1950년 6월 25일
11. 제 2대 대통령 선거(1952년 8월 5일
12. 제 3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 5월 20일
13. 제 2차 개헌(1954년 11월 27일
14. 제 3대 대통령 선거(1956년 5월 15일
15. 진보당 해산(1958년 2월 25일
16. 제 4대 국회의원 선거(1958년 5월 2일
17. 4.19 혁명(1960년 4월 19일
18. 내각제 개헌과 제 5대 국회의원 선거(1960년 6월 15일, 1960년 7월 29일
19. 5.16 군사정변(1961년 5월 16일
20. 제 1차 경제개발계획 발표(1962년 1월
21. 제 5대 대통령 선거와 제 6대 국회의원 선(거1963년 10월 15일, 1963년 11월 26일
22. 베트남 파병(1964년 9월
23. 한일협정 체결(1965년 6월 22일
24. 제 6대 대통령 선거와 제 7대 국회의원 선(거1967년 5월 3일, 1967년 6월 8일
25. 북한 특수부대 청와대 습격 사건(1968년 1월 21일
26. 6차 개헌(1969년 10월 17일
27. 전태일 분신(1970년 11월 13일
28. 제 7대 대통령 선거(1971년 4월 27일
29. 제 8대 국회의원 선거(1971년 5월 25일
30. 와우아파트 붕괴와 광주대단지사건(1970년 4월 8일, 1971년 8월 10일
31. 7.4 남북공동성명(1972년 7월 4일
32. 8.3 사채동결조치(1972년 8월 3일
33. 유신선언(1972년 10월 17일
한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시작해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국민의 힘으로 온전한 의미의 민주주의를 꽃피우기까지
현대에도 자주 쓰이는 표현인 ‘빨갱이’라는 말은 해방 때에도 사용되던 유서 깊은 표현이다. 해방 후 총독부 건물에 게양되어 있던 일장기가 내려지고 대신 성조기가 올라가며 미군이 정부의 역할을 맡게 되었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의 주류 이념은 민주주의가 되었다. 긴장감이 도는 국제 정세와 급변하는 국내 상황 속에서 이념은 민중을 결집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고, 사회 구성원을 이분하여 배척과 숙청의 대상으로 삼는 빌미가 되기도 했다. 제주민중항쟁, 반민특위 해산, 진보당 해산 사건은 물론이고 한국현대사 초기의 선거엔 정치 깡패들이 동원되기도 하였고, 각목부대가 나타나 선거운동을 방해하기도 했다. 또한 헌법이 제정되고 정부가 수립된 1948년으로부터 50여 년의 세월 동안 정권은 권리를 주장하는 국민들의 생명권과 인권을 공권력으로 수없이 앗아 갔다. 하지만 국민들은 폭력에 굴복하지 않았다. 4.19혁명, 부마항쟁, 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으로 꾸준히 저항을 이어 갔고, 많은 목숨을 잃은 뒤에야 거리의 폭력은 가라앉을 수 있었으며, 더불어 국민들 사이에서도 죽음을 통한 저항에 대한 비판 의식이 생겨나 보다 장기적으로 대중을 설득하는 노력을 통해 사회 개혁을 이루어야 한다는 교훈도 얻었다.
최빈국에서 급격한 성장을 이루다가
다시 IMF 구제금융을 신청하기까지
한국 경제의 성장과 위기 그리고 다시 일어서기
책에서는 해방 직후 미군정이 파악한 한국의 경제 상황과 이어진 급격한 성장, 국제 정세와 자본의 흐름에 따른 위기와 그 위기를 딛고 일어난 대한민국의 모습, 그리고 다양한 정치, 외교, 문화 등의 원인과 급격한 성장 이면의 어두운 면도 함께 언급하고 있다.
해방 이후 미군정이 일시에 쌀의 자유로운 매매를 허용하면서 쌀값이 순식간에 30배 이상 뛰어올랐다. 쌀을 유통하던 일본인들이 일시에 철수하며 국내 쌀의 유통망이 마비되어 버린 상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