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초역되는 문헌들: 『자연학』, 『분석론 전/후서』, 『동물부분론』, 『동물운동론』
특히 『자연학』 번역이 차지하는 위상을 다대하다고 할 수 있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철학적 저술들 맨 앞을 차지하면서 ‘자연’, ‘운동’, ‘형상’, ‘질료’, ‘기체’, ‘목적’, ‘연속’ 등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전 사유를 떠받치는 핵심 개념들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자연학’(ta physika은 좁은 의미로는 『자연학』이라 불리는 저술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자연학』을 필두로 『생성소멸론』, 『천체론』, 『기상학』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자연학적 저술들’을 통칭하기도 한다. 『형이상학』은 그래서 넓은 의미의 ‘자연학적 저술들 다음에 오는 저술’(ta meta ta physika이라는 뜻을 갖는다. 난해하기로 유명한 그의 이론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념이 처음 제기된 문맥 속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런 점에서 『자연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철학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헌인 것이다. 한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일반적으로 서양 과학의 기초로 간주되는데,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wgger는 “『자연학』이 없었다면 갈릴레오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할 정도이다.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서양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이 자연이 숨겨놓은 비밀을 놀라울 정도로 밝혀낼 수 있었던 ‘보고’(寶庫였다.
더불어 논리학적 저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분석론 전서』의 경우에는, 형식 논리학에 대한 연구서의 성격에 걸맞게 매우 엄밀한 언어로 쓰였다. 논리학을 높은 수준의 완성도를 갖춘 새로운 창조물로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업적은 놀랄 만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저술은 2000년 이상 이어온 논리학의 토대이자 모델 역할을 해온 문헌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분석론 후서』는 “참이고 첫째가며 무매개적이고 더 잘 알려지고 선행하며 원인이 되는” 전제들을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