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왕이란 어떤 존재일까? 한 나라의 리더이다
제1대 태조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라
제2대 정종 권리를 포기하면 의무도 포기하게 된다
제3대 태종 오직 결과에만 집중하라
제4대 세종 군주는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제5대 문종/제6대 단종 군주의 약함도 죄다
제7대 세조 오직 목적 달성만 중시할 뿐
제8대 예종 리더는 세력 구도를 파악할 줄 알아야 한다
제9대 성종 때를 기다릴 줄 알았다
제10대 연산군 만백성 위에 군림한 군주
제11대 중종 왕은 자신보다 큰사람도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제12대 인종/제13대 명종 리더는 결국 홀로 서야 한다
제14대 선조 무책임한 잔머리의 왕
제15대 광해군 앞서가는 왕, 붙잡는 신하
제16대 인조/제17대 효종 목소리만 컸던 비전 선포
제18대 현종 왕은 성과 위주로 이슈를 주도해야 한다
제19대 숙종 전형적 마키아벨리스트
제20대 경종 전략적 사고가 약한 비애미悲哀美의 군주
제21대 영조 양가감정을 지닌 전략적 성군
제22대 정조 새로운 판을 짜라
제23대 순조/제24대 헌종/제25대 철종 영令이 서야 왕이지!
제26대 고종/제27대 순종 함께 꿈꾸는 미래가 있느냐
조선 왕 계보도
위대한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우리에게는 어떤 리더가 필요한가?
이 시대 진정한 리더가 반드시 갖춰야 할 덕목은 무엇인가?
‘모두 과인의 책임’을 외친 조선 왕들의 리더십에서 한 수 배운다!
『조선왕조실록』은 왕조차 살아생전에 보지 못했으며, 조선이 망한 뒤에야 공개되었을 정도로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기록물이다. 기록으로 사회를 통제했던 조선이 낳은 기형적인 유산이다. 사생활 노출을 꺼린 왕과 부딪쳐 자칫 목숨마저 위태로웠던 사관의 투철한 직업관 덕에 우리는 날것의 역사를 접할 수 있다. 오늘 상상의 연료로 언제든 타오를 준비가 되어 있는 500년 역사의 주인공들을 다시 만난다.
『심리학으로 읽는 손자병법』 『고구려에서 배우는 경영전략』 등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역사를 재해석 온 저자가 이 책에서는 500년 조선 역사의 주역들을 불러낸다. 키워드는 리더십이다. 혼란의 용광로 속에서 융합을 이끌어내야 했던 통치자에게 어리광은 통하지 않았다. 이성계와 더불어 고려 말 최고의 실세로 국정을 운영했던 최영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가 회군 세력에게 목숨을 잃었다. 아버지 인조는 청나라의 선진 문물을 배워 돌아온 장남 소현세자를 질투해 두 달 만에 독살했다는 강한 의심을 받는다. 패륜의 군주라며 쫓아낸 광해보다 더 중대한 패륜을 저지른 것이다. 숙종은 인조, 효종, 현종도 무시 못 한 50년 정치 거물 송시열이 세자 책봉에 반대하자 과감히 제거했다. 선조는 임진왜란 동안 리더십을 발휘한 광해에게 마지못해 선위했다.
저자의 분류에 따르면 27명 왕 중 세종과 정조 정도가 백성을 위하는 위민의 리더다. 태종과 세조는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했다. 그런가 하면 조선 최악의 폭군 연산군을 비롯해 중종, 숙종은 지시만 있을 뿐 리드는 없는 군림형 리더였다. 정종을 포함해 인조, 순조, 문종, 단종, 예종, 인종, 명종, 현종, 경종 등 10명은 천성은 착했으나 권력의지와 냉혹한 정치 현실을 간파할 지략이 부족했다. “권력은 스스로 노력해 쟁취하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