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는 한글 專用(전용 政策(정책이 갑자기 시행된 이래 漢字(한자나 漢文(한문을 무시해 왔다. 그 결과 대학교육을 받은 知識人(지식인들조차 글쓰기나 말하기가 제대로 되지 않고, 우리나라 全般(전반에 學力低下(학력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한자 한문을 경시하다 보니 요즘 학생들은 말의 뜻도 모르고, 글도 안 되며, 말하는 격도 수준이 현저히 낮아졌다. 고등학생, 대학생의 문제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우리 국민 대다수가 한자 半文盲(반문맹이 되었다. 현재 심각한 言語障碍(언어장애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현실은 한글 전용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우리는 언어생활, 문화생활을 영위할 때 대부분 한자나 한자어를 사용하게 된다. 國語辭典(국어사전에 수록된 어휘의 70% 이상이 한자나 한자어로 되어 있다는 통계를 보아도 짐작할 수 있다.
그중에 漢字成語(한자성어는 우리에게 없었던 새로운 관념이나 사물과 현상을 알게 해, 認識(인식의 地平(지평을 넓히고 우리 문화의 領域(영역을 확장시켜 주었다. 그러므로 국어생활, 文化生活(문화생활, 認識(인식의 高揚(고양에 있어 한자성어는 莫重(막중한 역할을 담당한다.
한자성어에는 俗談(속담, 格言(격언, 慣用語(관용어, 고사성어, 동양고전 속의 警句(경구, 文學(문학, 歷史(역사, 哲學(철학 등의 핵심어, 百家爭鳴(백가쟁명의 주제어나 지칭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말들은 대개 비유하는 말로 발전하기도 한다.
우리가 쓰는 고사성어, 한자성어, 고전명언구는 실제로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풍부하다. 여기에 모은 말들을 이해하고 평소 생활에 공부하고 글을 쓰는 데 활용한다면 우리의 언어생활과 교양생활이 알차게 변화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學力(학력도 伸張(신장될 것이다.
이 사전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1 이 사전은 어휘가 풍부하다. 약 10,000어 이다.
2 한자성어의 배열이 쉽게 되어 있다.
이 사전은 한글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였다. 부수나 음으로 字典(자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