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ㄱ
가거지, 가거관
가로
가장자리
거버넌스 시스템
건설정보모델링
게슈탈트
경관
경관 관련 제도
경관 구조 및 기능
경관 유형
견관계획 가치와 과정
경관계획 내용
경관계획 성격
경관계획 실행
경관미학 체계
경관법
경관분석 척도체계
경관심의제도
경관영향평가
경관위계
경관자원평가
공공 공간
공생
공원
공원과 조경
광장
구곡
국제자연보전연맹과 국립공원
그린인프라
근대문화유산
금원
기후변화
ㄴ
내원, 외원
녹색 젠트리피케이션
녹지
농촌 어메니티
ㄷ
다양성과 이질성
대체서식지
도시공원 리모델링
도시공원의 포용성
도시숲
도시재생
동천
ㄹ
랜드스케이프
리질리언스
ㅁ
마을만들기
맥락
멸종위기종
명승
모자이크
문화경관
문화재조경
미세먼지
ㅂ
변곡점
별서
복원
분석
비영리조직
비오톱
비원
빗물정원
ㅅ
사적지조경
산수
산수체계
산업유산
삼신산
생태계 서비스
생태통로
습지
승경
ㅇ
역사경관
영국 경관특성 평가
와유
원격탐사
원림
원유
유네스코 문화경관
유럽경관협약
유상곡수
유역
이상향
ㅈ
장소
저영향개발
전통조경
정원(전통적 의미
정원(현대적 의미
정원(전원도시
조각
조경
조경 서비스
조경 아카이브
조경 양식
조경 언어
조경 형태
조경가
조경감리
조경계획
조경과 도시계획
조경과 정원
조경교육
조경산업
조경설계
조경시공
조경적산
지리정보시스템
지역공동체
ㅊ
차경
천이
취약성
ㅋ
커뮤니티 가든
커뮤니티 계획
커뮤니티 리질리언스
커뮤니티 매핑
ㅌ
탄소흡수원
택티컬 어버니즘
ㅍ
파편화
팔경
풍류
풍수지리
ㅎ
하천
하천차수
한국 공원
한국 조경
환경불평등
후원
찾아보기
참고문헌
한국에서 사적지에 본격적으로 조경 정비가 시행된 것은 1967년 ‘현충사 성역화사업’에서부터이다. 현충사 조경 정비는 1974년까지 7여 년에 걸쳐 시행되었고 한국의 조경분야가 교육기술산업 등의 전문적 체계를 갖추기도 전에 이루어진 대대적인 사업이었다. 이러한 문화유적지 정비 사업은 조경의 수요를 유발하여 한국 조경분야의 발전에 크게 이비자하였다.
_253쪽에서
조경 전문인력이 부족하던 1970년대에 조경교육과 실무를 이끈 이는 임학이나 원예전문가들이다. 이들은 주로 조림사업과 훼손지 녹화와 같은 식재사업을 조경이라는 이름으로 시행했다.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조경은 “나무 심는 분야, 가드닝, 식재기술로 오해”(488쪽되곤하는데 조경은 “공간 환경을 계획설계관리하여 아름답고, 쾌적한 인간 정주 환경을 조성”하는 분야이다.
실제로 많은 사람이 조경을 가드닝이나 식재기술, 나무 심는 분야로 생각하고 있는데 《조경개념사전》은 이런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는다. ‘조경’, ‘랜드스케이프’, ‘경관’, ‘정원’, ‘공원’ 등 조경 관련 용어 126항목의 정의는 물론 쓰임의 변천사, 용어에 담겨 있는 다중적 가치 전달 등 낱말 풀이에 그치지 않는다. 우리나라 조경의 도입, 전통조경, 기후변화, 도시재생, 마을만들기, 커뮤니티 계획 등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떼려야 뗄 수 없는 조경 분야의 전반을 이야기한다.
“한국 조경용어사전의 출발점인 첫 번째 기본 개념 사전”이라는 집필진의 말처럼 《조경개념사전》은 한국에 학문적 의미의 조경학이 도입된 지 50년 만에 출간되는 첫 번째 개념사전이다. 집필진은 이 책을 토대로 앞으로 더욱 완벽한 체계와 충분한 어뤼를 갖춘 책이 출간되기를 원한다고 말한다.
전문 직종으로서 조경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849년 네스필드(William Andrews Nesfield가 영국 버킹엄궁의 정원을 디자인할 때 자신을 ‘조경가(Landscape Architect’라고 칭하면서부터라고 알려져 있다. 전문 직업으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