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21세기 뉴페미니즘 (양장
저자 전복희, 김경미, 이순주, 김욱, 이정진, 이지영, 최정원, 김민정, 박채복, 김감미, 김성진
출판사 한울아카데미
출판일 2023-03-30
정가 36,000원
ISBN 9788946074354
수량
머리말| 김민정

1부 세계의 뉴페미니즘

1장 21세기 독일의 뉴페미니즘과 독일 여성운동의 과제| 전복희
1. 들어가며|2. 영미권의 뉴페미니즘의 특징|3. 독일의 뉴페미니즘의 특징|4. 나오며: 독일 여성운동의 발전을 위한 제언

2장 1989년 이후 폴란드의 여성운동과 뉴페미니즘의 전개: 임신중단 이슈를 중심으로| 김경미
1. 들어가며|2. 체제전환기 폴란드의 페미니즘과 여성운동|3. 2010년대 이후 폴란드의 뉴페미니즘|4. 나오며

3장 제4의 물결 페미니즘을 넘어: 아르헨티나 페미니즘의 확산| 이순주
1. 들어가며|2. 라틴아메리카 페미니즘의 발전|3. 아르헨티나 페미니즘 운동의 수단과 전략|4. 나오며

4장 육체적 페미니즘: 미국 페미니즘의 새로운 경향| 김욱·이정진
1. 들어가며|2. 1990년대 육체적 페미니즘 이론: 버틀러와 그로츠|3. 21세기 연구 동향: 육체와 물질의 강조|4. 미국 페미니스트 운동과 여성의 몸: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주요 논쟁|5. 요약 및 시사점

5장 일본에서 포스트페미니즘의 전개: ‘여자력’과 ‘애국여성’을 중심으로| 이지영
1. 들어가며|2. 일본의 제1의 물결 페미니즘과 여성의 전쟁협력|3. 일본의 제2의 물결 페미니즘과 젠더 역풍|4. 일본의 포스트페미니즘의 전개, ‘여자력’과 ‘애국여성’|5. 나오며

6장 글로벌 페미니즘과 유엔의 역할: 여성 의제의 전개를 중심으로| 최정원
1. 들어가며|2. 보편적 가치로서의 글로벌 페미니즘|3. 유엔의 역할과 여성|4. 유엔 여성 의제들의 형성과 전개|5. 나오며

2부 한국의 뉴페미니즘

7장 2015년 이후 한국 여성운동의 새로운 동향| 김민정
1. 들어가며|2. 2000년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여성운동|3. 새로운 여성운동의 등장|4. 새로운 여성운동의 새로움|5. 나오며

8장 디지털 공간에서 젠더의 주체화와 저항의 정치: 온라인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박채복
1. 문제제기|2. 새로운 페미니즘 운동으로서 온라인 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서 ‘안티’페미니즘까지,
다양한 의미와 다채로운 현상의 21세기 뉴페미니즘을 한 권에 정리하다

뉴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매우 다의적으로 사용된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기도 하고, 포스트페미니즘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때로는 1990년대 초부터 불기 시작한 ‘페미니즘에 대한 반격(Backlash’으로 ‘안티페미니즘(anti-feminism’적 특징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엘리트 페미니즘’에서부터 ‘보수적 페미니즘’, ‘신(neo페미니즘’에 이르기까지 상이한 유형에 대해 다양한 의미로 뉴페미니즘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이다. 뉴페미니즘은 ‘피해자 페미니즘’과 상반되는 의미의 파워 페미니즘, ‘구(old’페미니즘과 구별하는 의미의 ‘신(new’페미니즘 또는 제3의 물결 페미니즘, 상품 페미니즘(commodity feminism, 베이브(babe 페미니즘, 두-미(Do-me 페미니즘, ‘나는 페미니스트가 아니지만… 페미니즘’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 책은 이러한 다양한 페미니즘이 세계 각국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한국에서는 어떤 형태로 발현되고 있는지, 21세기에 강화된 온라인 페미니즘의 양상은 어떠한지를 한 권으로 정리하고 있다.

전 세계 각 나라의 21세기 뉴페미니즘을 말하다
국가의 특수성에 따라 다종다기한 모습으로 발현되는 젠더 이슈와 페미니즘

1980년대 중반 이후 서구 많은 국가에서 초국가적 현상으로 나타난 뉴페미니즘은 각 국가의 특수한 역사적·정치적·사회적·문화적 전통과 인식방법을 반영하면서 차이점과 비동시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의 제1부는 이러한 내용을 다룬다.
독일에서는 지구화와 신자유주의의 확산, 기술혁신의 진보, 인구감소 등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특히나 다양한 형태로 뉴페미니즘이 나타났으며, 폴란드에서는 안티페미니즘적 경향이 ‘검은 시위’로 대변되는 임신중단법 제한 반대투쟁과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고, 미국에서는 최근 생물학적 연구와 더불어 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