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학교생활 이야기
1. 북한의 유치원 생활 13
2. 북한의 소학교(초등학교 생활 14
3. 북한의 초급중학교와 고급중학교 생활 22
4. 북한의 대학 생활 31
2장
연애와 가족생활 이야기
1. 이성 교제에 대한 시선 39
2. 중·고등학생의 이성 교제 40
3. 대학생의 이성 교제 42
4. 결혼 연령 44
5. 인기 있는 배우자 45
6. 결혼 풍경 48
7. 북한 가정의 성 역할 49
8. 북한의 주거환경 52
9. 북한의 자녀 출산 55
3장
대중문화와 예술 이야기
1. 텔레비전 63
2. 외부에 알려진 적 없는 북한 매스미디어-제3방송 64
3. 신문 65
4. 북한의 대중문화와 예술의 목적 66
5. 북한의 문화예술 69
6. 혁명 가극 72
7. 일반 주민들의 예술 생활 73
8. 북한의 한류 77
4장
군대생활 이야기
1. 북한에서 병역의 의무 85
2. 북한에서 군 복무 86
3. 북한의 장교(군관 선발과 입당 87
4. 당이 군대를 통제 88
5. 북한의 입대 과정 88
6. 북한의 신병 훈련과 진급 90
7. 북한의 병영 생활 91
8. 북한 군인들의 휴가 94
9. 북한 군인들의 제대 이후 생활 95
10. 4대 군사 노선 95
11. 선군 정치 98
12. 북한의 예비 전력 99
5장
정치생활 이야기
1. 국가의 최고 기관 조선로동당의 위상 105
2. 북한의 지도자-수령의 존재 106
3. 조선로동당 이 외의 북한의 정당 109
4. 당원이 되는 길-당원은 출세의 수단 110
5. 당원의 혜택 112
6. 북한의 국회-최고인민회의 114
7.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의 지위와 역할 116
8. 북한 사회에서의 법 118
9. 북한의 현지 지도 120
6장
직장과 시장생활 이야기
1. 북한에서의 직장배치 125
2. 직장배치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 127
3. 직장 생활과 독보회 130
4. 휴가와 휴일 136
5.
책 속에서
서 문
“북한 학생들도 수능을 보나요?”
“북한 사람들도 휴가를 가나요?”
통일과 북한을 주제로 강의를 하다 보면 학생들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는다. 이런 학생들의 질문을 통해 두 가지를 알게 된다. 첫 번째는 우리 학생들이 그만큼 북한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우리 학생들이 그만큼 북한에 대해서 잘 모른다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학생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70년 넘는 기간 동안 분단을 지속해 오면서 북한은 우리와 너무나 다른 존재가 되어 버렸다.
이 책을 쓴 네 명의 저자는 북한을 청소년들과 대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소개하고 싶은 열정으로 집필을 시작했다. 저자 네 명 중 두 명은 북한 출신 연구자이다. 먼저 김병욱 박사는 평양에서 태어났으며 북한에서 대학까지 졸업한 인텔리 관료 출신이다. 그는 북한 사회의 전반 영역을 파악하는 지적 저울의 무게추가 연구자 개인의 감정으로 기우는 것을 항상 경계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무엇보다 통일이 자본의 시녀 노릇을 하는 것이 아닌 남북한 사람과 사람들의 마음이 닿는 손끝의 감정에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와 달리 또 다른 북한 출신 저자인 최영일 박사는 양강도 김정숙군(옛 신파군에서 태어나 함경북도 맨 끝자락에 위치한 온성군으로 추방된 평범한 탄광 노동자의 아들이다. 아버지가 철도 부문 탄광에서 일했던 관계로 그 역시 고등중학교를 졸업한 후 철도 노동자로 근무했다. 고난의 행군 시기에 돌아가신 아버지가 장남에 대하여 간절히 바랐던 대학 공부와 자신이 개인적으로 가장 이루고 싶던 소원인 학업의 꿈을 남한 입국 후 마침내 이룰 수 있었다. 그는 북한 이탈주민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정부 등록금 혜택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직장 출근과 등록금을 스스로 마련하면서 학부,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모두 마쳤으며, 박사학위를 취득하기까지의 열정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남한 출신 학자 두 명은 공동 집필 작업을 하면서, 두 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