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5
추천의 글 7 / 옮긴이 서문 9
1장 서론 19
초기불교의 역사적 기반 26
열반의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맥락 34
연구 개요 38
2장 다양한 시선에서 본 열반의 개념 43
열반(닙바나의 어원 43
열반과 초기불교의 개념 51
열반에 대한 문헌적 해석 59
열반에 대한 주석서의 해석 65
비상좌부불교학자들의 열반에 대한 해석 71
불교학자들과 비불교학자들의 열반에 대한 해석 77
문헌을 통한 열반의 이해 81
3장 존재와 비존재 85
존재란 무엇인가? 85
중생의 존재 개념 91
불교 우주론의 쟁점 100
세계체제의 시작에 관한 두 가지 견해 107
고통스러운 세상 110
행복한 세상 115
생과 죽음의 결과 120
존엄한 죽음 맞이하기 125
4장 열반의 존재에 대한 분석 135
열반은 존재하는가? 135
열반은 무엇인가? 143
열반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147
열반의 종류 152
열반은 지고한 행복인가? 164
윤회 속에 열반은 존재하는가? 168
열반에 대한 중요한 논제 174
열반은 깨달은 자에게 존재한다 179
5장 해탈을 향한 불교명상 183
해탈에 대한 불교적 개념 183
불교명상의 목적 189
불교명상의 근본적 방법 194
호흡명상을 통한 선정의 성취 198
통찰명상을 통한 지혜의 체득 202
통찰명상의 칠청정 211
열반의 최후 실현 215
결론 223
부록 A 89가지 마음(citta 229
부록 B 52가지 마음작용(cetasika, 마음부수 234
빠알리어 용어정리 237 / 미주 246
참고문헌 269 / 찾아보기 283
이 책은 열반에 대해 기존에 제기된 다양한 해석 및 주장들과 그것들에 내재된 배경 및 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빠알리 경전과 주석서, 복주석서들을 통해 열반의 의미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접근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독자(수행자들은 열반으로 향하는 길의 실천성과 구체성을 함께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돋보이는 것은 열반에 대한 다양한 관점, 즉 불교학자와 비불교학자의 관점을 비교분석하고, 동양적인 관점과 서양적인 관점을 토대로 열반을 분석하는 통섭적인 접근에 있다.
열반의 의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핵심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는데, 이는 이론적 열반과 수행적 열반이다. 이는 달리 교학적 열반과 실천적 열반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론적 열반은 설명의 원리를 통해 그 의미를 끌어내는 것이고, 수행적 열반은 체험에 의한 깨달음으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론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열반’을 완전하게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열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행과 실천, 즉 마음챙김 명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한다. 즉 명상의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통찰지혜를 체득해 가는 체계적인 진행 과정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사용한 언어에는 한계가 있고, 기존에 열반을 해석한 사람들도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충분한 수행을 직접 하지 않았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열반의 의미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저자는 다각적,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경전 해석을 기본으로, 명상 방법, 불교명상의 체험, 이에 대한 철학적 접근 및 심리학적 분석까지 다양한 방법이 동원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저자는 상좌부 빨리어 문헌을 방대하게 인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독자들은 열반의 의미는 물론이고 열반으로 향하는 길의 실천성과 구체성을 함께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빠알리 경전에 수록된 열반의 메지시는 본래 무엇이었는가?를 파악, 이해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저자의 관점은 일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