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말
1. 『동의보감(東醫寶鑑』을 통해 본 조선시대 음다풍속
- 향약鄕藥으로 활용된 차茶의 역사
- 『동의보감』에 나타난 차茶의 활용
- 『동의보감』에 나타난 차茶의 효능과 형태
- 차茶의 부작용
2. 문위세(文緯世의 「다부(茶賦」를 통해 본 장흥지역 음다풍속
- 풍암楓庵 문위세文緯世의 생애
- 「다부茶賦」에 나타난 음다풍속
- 고형차固形茶와 약용藥用
3. 이운해(李運海의 『부풍향차보(扶風鄕茶譜』
- 『부풍향차보扶風鄕茶譜』의 이해
서문序文
「차본茶本」
「차명茶名」
「제법製法」
「차구茶具」
- 『부풍향차보』를 필사한 이유
4. 『상두지(桑土志』의 국방강화 재원마련 방안 『기다(記茶』
- 『기다』와 『상두지』의 관계
- 『기다』의 구성과 내용
『기다』를 저술한 의도를 설명한 「다설茶說」
차의 일반적인 내용을 소개한 「다사茶事」
차 무역의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설명한 「다조茶條」
- 『기다』 이본異本
5. 다산(茶山 황차(黃茶의 특징과 전승
- 다산 황차 제다법
- 약용으로 음용한 다산 황차
- 다산 황차의 전승
6. 다산 정약용의 고형차(固形茶 제다법
- 문헌에 나타난 조선 후기 제다법
- 다산의 고형차固形茶 제다법
- 연고차硏膏茶 제다법과 다산 제다법의 관계
7. 다신계(茶信契가 강진지역 다사(茶史에 미친 영향
- 『다신계절목茶信契節目』의 구성
- 강진 다사茶史의 배경
- 다신계茶信契
- 전등계傳燈契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