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장 삼세 동거의 한자음 체계
1. 대체로 본 ≪훈몽자회≫의 한자음의 체계
2. ≪훈몽자회≫에 스며 있는 상고 한어음
3. ≪훈몽자회≫에 나타난 근대 한어음
4. 한자음의 체계를 연구하는 방법론
제2장 한자어 지식을 현대 한어 공부에 활용
비결1. 초성이 ‘ㄹ-, ㄴ-’인 한자
비결2. 종성이 ‘-ㅇ?-ㄴ?-ㅁ’인 한자
비결3. 홑모음이 ‘오?요’인 한자
비결4. 모음이 ‘아’와 ‘이’인 치음
비결5. 중성이 ‘오’ 또는 ‘우’인 치음
비결6. 인체를 일컫는 한자는 3성
비결7. 초성 ㄱ ㄷ ㅂ ㅈ, 종성 ㄱ ㄹ ㅂ인 한자는 2성
비결8. 초성 ‘ㄴ ㄹ ㅁ’, 종성 ‘ㅂ ㄹ ㄱ’인 한자는 4성
제3장 고유명사를 한어 발음대로 표기하는 데 관하여
1. 언어에 내재된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2. 언어적 차원에서 보아도 부적합
3. 상기 오류는 한국인의 이미지를 추락
제4장 두음법칙 질의
1. 두음법칙은 구어(口語 근거가 없는 법칙
2. 두음법칙은 허점이 많은 법칙
3. 두음법칙은 법칙이 아닌 법칙
4. 두음법칙과 퍼우님 문제
제5장 한자어 한자 관계어 산책
1. 짐승
2. 蟲, 戎夷, 躬
3. ‘섣, 설, 살’ 그리고 ‘세’
4. 질, 짓
5. 지리산
6. ‘寺’ 관련 한자어와 한자 관계어
7. 술 관계 한자어들
8. 토끼띠
9. ‘사주’인가, ‘사촉’인가?
10. 동이, 둥궤
11. 상추
12. 동무
13. ‘鍾路’인가, 아니면 ‘鐘路’인가?
14. 이름자 ‘鎬’를 한어로 어떻게 읽어야 하나?
15. 총각
16. 명함
17. 事業
18. 공작
19. 품질, 질, 질량
20. ‘相’과 ‘像’
21. 만두
22. ‘深?’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3. ‘朝?’의 독음과 그 뜻
24. 한중간 고유명사 논란
25. ‘한자어=한어’는 오해
제6장 한국 한자어 사용상의 오류
1. 보행
2. 임산부
3. 정형외과
4. 탈의실
5. 한일합방
6.
한국 한자어의 입수 시기는 한자음이 처음 형성된 시기는 한사군(漢四郡시대다.
B.C.109년 한무제(漢武帝는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한반도에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하고 식민통치를 하였다. 종주민족 과두통치자의 통치가 아니라 허다한 종주민족 인구가 한반도에 와서 살면서 한 통치였다. 그러므로 ‘조선-열수(洌水’ 지역은 당시 중국의 10여 개 주요한 방언의 한 지역으로 될 정도였다. A.D.313년에 고구려가 낙랑군을 탈취할 때까지 우리민족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의 대부분은 422년간 중원 한족의 식민통치를 받았다.그때 중국어가 우리민족의 언어에 끼친 영향은 아무리 과장해도 무리가 아닐 정도로 심각했을 것이다. 당송(唐宋 때 중국에 내왕한 조선사절단이 제아무리 빈번했고, 중국에 파견된 한반도 유학생이 제아무리 많다고 하여도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정도는 422년간 한족의 식민통치를 받은 정도에 비할 수 없이 미약하다. 저자는 한사군 때가 바로 한자어를 임수하기 시작한 시기이며 그때 한자음의 계통이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B.C.109년~A.D.313년의 중국어는 기본적으로 상고 한어이다. 그러면 그때 형성된 상고 한어의 한자음이 변함없이 지금까지 지탱해 왔는가? 그렇지 않다.
한국은 1443년 이전에는 문자가 없었으므로 한자어 음을 구이상전(口耳相傳: 선대가 입으로 말하면 후대가 귀로 듣고 전승하다의 방법으로 전승하였으므로 한국어 한자음에 형식상 이런 구분이 없다.
그러면 사실상 한국어 한자음 안에는 이런 구분이 전혀 없는가? 그렇지 않다. 형식적으로는 구분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구분이 있다. 한자의 음이 상고, 중고, 근대를 경유하며 변할 때마다 한자어 음도 따라서 보완되기는 하였지만 변화가 큰 음은 한자음도 변경시켰고 변화가 크지 않은 음은 그대로 썼다.
이 책의 저자는 한자음을 심층 분석하여 한자음은 중고 한어의 음이 주축을 이루고 상고 한어의 음과 근대 한어의 음이 다소 포함되어 있는, 즉 한자음은 3세가 동거하는 어음체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