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독일 이데올로기의 문헌학적 연구 초고의 해석과 편찬
저자 정문길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출판일 2011-10-27
정가 30,000원
ISBN 9788932022369
수량
목차
책머리에
중국어판 서문
약어 일람
일러두기
제1장 편찬사를 통해서 본 『독일 이데올로기』-신MEGA |/5의 발간을 기대하며
1. 글머리에
2. 『독일 이데올로기』에 대한 최초의 관심
3. 『독일 이데올로기』의 성립과 출판을 위한 노력
4. 『독일 이데올로기』의 출판을 위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노력
5. 신MEGA 발간 준비 과정에서 제기되는 『독일 이데올로기』 편찬상의 문제
6. 맺음말
제2장 『독일 이데올로기』는 계간지용 원고로 집필되었나?-『독일 이데올로기』 성립사에 대한 최근 논의를 중심으로
1. 글머리에
2. 골로비나의 계간지설과 종래 통설의 근거
3. 계간지설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
4. 『독일 이데올로기』 공저자로서의 마르크스와 엥겔스
5. 『독일 이데올로기』 집필 동기에 관한 재해석
6. 맺음말
제3장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의 재구성-리야자노프 이래의 각종 텍스트에 대한 비교 검토
1. 글머리에
2.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의 특징
3. 기존 각종 텍스트의 개관
4. 「|. 포이어바흐」 장 각 판본의 종합적 검토
5. 맺음말
제4장 1960년대와 70년대 일본 학계의 『독일 이데올로기』 논쟁-일본 마르크스학의 이해를 위한 하나의 구체적 실례로서
1. 글머리에
2. 일본의 『독일 이데올로기』 번역사-논쟁의 기본적 토양
3. 『독일 이데올로기』의 텍스트 논쟁
4. 『독일 이데올로기』 논쟁의 전개
5. 『독일 이데올로기』의 새로운 독해
6. 맺음말
제5장 『독일 이데올로기』 연구에 있어서 텍스트 편찬의 문제-특히 「|. 포이어바흐」 장의 재현 문제와 관련하여
1. 글머리에
2.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 초고의 특수성
3.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의 집필
4. 『독일 이데올로기』, 특히 「|. 포이어바흐」 장의 재현 문제
5. 새로운 텍스트 편찬을 위한 몇 가지 제언-결론에 대신하여
제6장 『독일 이데
출판사 서평
마르크스-엥겔스의 “미완성 초고” 『독일 이데올로기』,
이를 대상으로 한 20여 년에 걸친 문헌학적 연구 결과의 집대성!
문학과지성사에서 ‘현대의 지성’ 시리즈로 출간된 『독일 이데올로기의 문헌학적 연구―초고의 해석과 편찬』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동 저작인 “독일 이데올로기”를 대상으로 한 저자 정문길(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의 20여 년에 걸친 문헌학적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책이다. 저자는 마르크스 문헌학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한국에서 거의 유일한 연구자로, 그동안 『소외론 연구』(1978, 월봉저작상 수상, 『에피고넨의 시대』...
마르크스-엥겔스의 “미완성 초고” 『독일 이데올로기』,
이를 대상으로 한 20여 년에 걸친 문헌학적 연구 결과의 집대성!
문학과지성사에서 ‘현대의 지성’ 시리즈로 출간된 『독일 이데올로기의 문헌학적 연구―초고의 해석과 편찬』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동 저작인 “독일 이데올로기”를 대상으로 한 저자 정문길(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의 20여 년에 걸친 문헌학적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책이다. 저자는 마르크스 문헌학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한국에서 거의 유일한 연구자로, 그동안 『소외론 연구』(1978, 월봉저작상 수상, 『에피고넨의 시대』(1987,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수상, 『마르크스의 사상 형성과 초기 저작』(1994, 『한국 마르크스학의 지평』(2004, 『니벨룽의 보물: 마르크스-엥겔스의 문서로 된 유산과 그 출판』(2008,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그리고 이 책에 이르기까지 학자로서의 평생을 같은 연구에 바쳐왔다. 그동안 국내에 출간된 마르크스-엥겔스 관련 서적들이 거의 대부분 사상사적 측면에만 치우쳐 있었다면, 정문길의 연구는 그들이 남긴 문자로 된 유산을 바탕으로 한 문헌학·서지학적 측면에 관심을 집중해왔다. 그동안 일본과 독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국제 마르크스-엥겔스 재단을 오가며 수집한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주도면밀한 분석을 계속해온 저자의 작업은, 무엇보다 사상사 연구에서 기초 자료의 중요성을 새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