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9
서문 19
1부. 광기
1장 정신장애운동과 인정에 대한 요구 37
1. 들어가며 37 | 2. 정신장애운동의 간략한 역사 42 | 3. 광기의 의미 61 | 4. 매드 프라이드 69 | 5. 매드 프라이드 담론에 대한 철학적 관여 88 | 6. 나가며: 다음으로 다룰 문제들 91
2장 정신적 고난과 장애의 문제 93
1. 들어가며 93 | 2. 장애 97 | 3. 정신적 고난 128 | 4. 나가며 132
2부. 인정
3장 인정의 개념과 자유의 문제 137
1. 들어가며 137 | 2. 자유로운 행위주체란 무엇인가?: 도덕적 의무 vs 인륜성 142 | 3. 《정신현상학》에서 나타나는 인정의 개념적 구조 148 | 4. 인정은 어떤 종류의 개념인가? 166 | 5. 인정 개념을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76 | 6. 나가며 187
4장 정체성, 그리고 인정의 심리적 결과 190
1. 들어가며 190 | 2. 정체성 193 | 3. 인정투쟁 217 | 4. 인정의 심리적 영향 227 | 5. 나가며 241
5장 무시: 정치적 개혁 혹은 화해? 243
1. 들어가며 243 | 2. 사회적 해악으로서의 무시 245 | 3. 무시와 정치적 개혁 249 | 4. 무시와 화해 264 | 5. 무시에 대한 대응: 정치적 개혁과 화해의 역할 274 | 6. 나가며 278
3부. 인정으로 가는 경로
6장 매드문화 283
1. 들어가며 283 | 2. 문화란 무엇인가? 285 | 3. 광기가 문화를 형성할 수 있을까? 288 | 4. 문화적 권리로 가는 경로 295 | 5. 나가며 307
7장 매드 정체성 Ⅰ: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체성과 실패한 정체성 308
1. 들어가며 308 | 2.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체성과 실패한 정체성의 구별 314 | 3. 망상적 정체성 323 | 4.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체성과 실패한 정체성을 구분하는 방법론 357 | 5. 나가며 3
정신장애 당사자의 목소리를 찾아서: 초기 당사자운동의 흐름
미쳤다는 것을 어떤 집단 혹은 공동체의 문화 및 정체성의 근거로 제시하는 흐름에 대해, 즉 매드 프라이드 운동과 매드 포지티브 운동의 인정 요구에 대해 사회는 어떻게 응답해야 할까? 이런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오늘날까지 이어져온 정신장애인 당사자운동의 역사부터 짚어야 한다. 저자 라셰드는 1970년대의 민권운동, 소비자/(서비스이용자/생존자c/s/x 운동 등 19세기 후반부터 영국과 미국에서 전개된 당사자운동의 흐름을 개괄하며 여타의 사회운동과 차별화되는 매드운동만의 급진성과 독창성을 발굴해낸다.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은 여성, 흑인, 성소수자들의 민권 투쟁에 지대한 영향을 받아 정신장애인 민권운동이 시작되던 시기였다. 영국의 경우 정신과환자연합이, 미국의 경우 정신이상자해방정선, 정신과환자해방전선, 그리고 정신과적 폭력에 대항하는 네크워크 등의 단체가 그 흐름을 주도했다. 물론 이전에도 민권 의제를 외친 단체들은 있었지만, 1970년대 이후 출현한 이 당사자단체들은 자신들을 동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정신건강 전문가들을 배제하고 당사자들로만 조직을 꾸렸다는 점에서 노선을 뚜렷하게 달리했다. 정신의학 자체를 ‘종식’시키면서 강제입원 및 강제치료를 폐지하고 정신과 환자가 정신의료기관 밖에서 자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들의 활동 목적이었다. 즉 이들은 정신질환을 가진 누군가가 있고, 그들에게 치료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기존 ‘정신의료 시스템’의 핵심 가설 자체를 해체했다. 이른바 ‘의식화consciousness-rasing’라고 불리는 급진적 전환이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당사자 정체성은 여러 갈래로 분화하기 시작한다. 라셰드는 이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 살펴본다. 그 한편에는 의료 서비스가 시장 기반의 방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환자 및 환자경험자ex-patient를 일컫는 명칭으로 등장한 ‘소비자’ 혹은 ‘서비스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