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4
들어가기 10
제1절 중화의 철학 19
1.1. ‘중화中和’란 무엇인가? 20
· 개관: 인간의 4대 행위와 기쁨·재미·미·선 21
· 중화와 재미의 관계 25
· 균형으로서의 ‘중中’의 개념 27
· 비례적 조화로서의 ‘화和’의 개념 37
· 중도中道와 중도中度로서의 ‘중’ 개념 47
1.2. 존재론적 ‘중화’ 이념 56
· 공자의 존재론적·우주론적 중화 개념 56
· 플라톤의 우주론적 중도 개념 59
제2절 중화와 4대 교감적 평가감각 67
2.1. 내감의 변별력과 공감과의 연계 68
· 중화에 대한 내감적 직관과 변별 68
· 공리적·유희적·예술적·도덕적 공감 70
2.2. 단순쾌감과 교감쾌감 74
· 감각과 감정의 중화 74
· 공리적 정체성과 생존도덕 80
제3절 유희적 중화로서의 재미와 게임의 이해 95
3.1. 유희와 재미 96
· 유희는 생명력과 심신능력의 자유분방한 표출 97
· 재미는 유희의 중화성에 대한 느낌 102
· 어린이들의 유희행위로서 ‘난장판놀이’와 ‘날뛰기놀이’107
· 발전된 유희로서의 ‘흉내(미메시스’와 ‘내기’ 108
· 언어적 유희로서의 유머·위트와 유희적 정체성 113
· 최고 형태의 유희로서 ‘게임’ 116
· 공리적 유희로서 ‘도박’ 120
3.2. 유희의 신경과학과 동물행태학 125
· 자악 팽크셉의 유희체계이론 125
· 템플 그랜딘의 동물·아동유희론 145
3.3. 유희와 재미의 이론들: 플라톤에서 가다머까지 154
· 플라톤의 놀이와 재미의 개념 154
· 아리스토텔레스의 공리적 유희이론과 오류들 161
· 호이징거의 유희 개념과 이론적 모호성 166
· 로제 카이와의 유희 개념과 이론적 난점들 171
· 가다머의 재미없는 유희이론 178
3.4. 재미의 공감과 유희적 행복감 190
· 재미와 인생의 행복 190
· 유희의 보편적 활용: 유희, 세상을 지배하다 196
맺음말 206
참고문헌 209
저자
‘놀이하는 인간’이란
난장판놀이를 즐기는 아기부터 바둑 두는 할아버지까지. 사람들은 왜 놀이를 즐길까. 저자는 놀이가 “생명력과 심신능력의 자유로운 발휘, 표출”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놀이의 범주에는 나홀로 놀이와 같이하는 놀이가 모두 포함된다. 나아가 목적론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은 ‘호모 파베르(공작인’가 아니라 놀기 위해 사는 ‘호모 루덴스’라고 규정한다. 이는 각종 게임에 열광하고 해외여행이 필수인 현대인들에게 딱 들어맞는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중화론: 놀이와 재미의 본질
“놀기 위해 일하는” 호모 루덴스에게 재미는 곧 놀이의 궁극적 목표로서 매우 중요하다. 저자는 재미의 본질을 《중용》에 나오는 공자의 중화론中和論에서 찾는다. 질적인 균형〔中〕, 조화〔中節〕, 그리고 양적 중도中度가 재미를 좌우한다고 본다. 이 중화의 원리는 인간의 사회적 행위(공리, 유희, 예술, 도덕를 규제한다. 유희적 행위를 판단하는 재미감각은 적절한 분량의 균형 잡힌 놀이에 재미를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과 《대학》, 《예기》 등 동서고전을 넘나들며 사례별 인간의 감정과 공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제3절에서는 아이들의 싸움놀이에서부터 유머, 만화, 게임, 도박에 이르기까지 놀이의 종류를 일목요연하게 다룬다.
유희를 보는 고금의 이론들
그다음으로, 저자의 유희론과 현대과학 연구, 고금의 유희철학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놀이론을 확장, 심화한다. 자악 팽크셉과 템플 그랜딘은 어린 포유류의 날뛰기놀이는 각각 뇌 안의 유희충동, 놀이신경체계에 따른다고 본다. 이러한 뇌과학적·행태학적 분석은 저자가 ‘생명력의 분출’로 본 유희본능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해 준다. 유희철학으로는 유희의 가치를 예술, 노동보다 낮게 평가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미메시스를 유희의 본질로 오인한 호이징거, 가다머 등 그 특징과 오류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특히 ‘호모 루덴스’를 만든 호이징거 이론을 비판하는 대목에서는 저자의 놀이론이 얼마나 정교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