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부리와 날개를 가진 동물,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 -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어휘문화총서 4
저자 기유미, 신아사, 이선희, 홍유빈
출판사 따비
출판일 2024-02-25
정가 20,000원
ISBN 9791192169347
수량
발간사 | 〈어휘문화총서〉를 펴내며 5
들어가며 12

제1장 반가운 손님을 부르는 까치
한국인에게 친숙한 새, 까치 19
까치는 희조(喜鳥 21
까치의 비유적 의미와 속담 24
중국에서도 까치 울음은 기쁜 소식 25
좋은 소식을 가져다주는 까치의 전설 27
신라와 일본 그리고 까치 29
임진왜란과 일본 그리고 까치 31
까치, 파이, magpie 33
거울 속 자신을 인식하는 까치의 지능 35
오페라 〈도둑 까치〉와 영국의 ‘까치 둥지’ 35

제2장 작고 연약하지만 어느 새보다 친근한 참새
참된 새일까, 작은 새일까 42
작고 소심한 참새 44
마췌[麻雀], 잔잔한 얼룩점이 있는 작은 새 48
참새는 작위의 상징 50
참새의 눈물만 한 월급 51
혀 잘린 참새 이야기 52
sparrow와 spadger 54
참새 같은 사람 56
저속함과 음란함에서 신성함까지 57

제3장 하늘의 제왕 독수리
대머리를 가진, 신의 사자 61
문헌과 언어생활에서 나타나는 독수리의 상징과 비유 64
머리가 벗겨져 투주[禿鷲] 66
영혼의 사자(使者이자 신령한 새 67
와시(わし와 다카(たか가 다투는 일본의 하늘 70
위를 보지 않는 독선적인 독수리 72
별자리, 인간, 골프와 독수리 74
자유, 권력, 전지전능의 상징 독수리 76

제4장 백년해로의 상징 원앙
수컷은 원, 암컷은 앙, 합쳐서 원앙 81
원앙의 비유적 의미, 부부와 사랑 그리고 쌍 85
위안양[鴛鴦]의 별명은 ‘짝을 이룬 새’ 피냐오[匹鳥] 86
상사수와 원앙이 전하는 한빙 부부의 애틋한 사랑 88
서로 사랑하는 새, 오시도리(おしどり 90
오시도리 부부는 오시도리 텐킨으로 함께하도록 93
중국의 오렌지색 오리, mandarin duck 94
사랑꾼 lovebird 97

제5장 백조가 되지 못하지만 장원급제의 상징 오리
구원의 새, 오리 101
오리, 장원급제의 상징 107
주안수이야[鑽水鴨]와 첸수이야[
견우와 직녀를 이어준 까치, 하늘과 사람을 이어주는 독수리,
변함없는 부부 금슬의 상징 원앙, 장원급제를 의미하는 오리,
서신을 전해주는 메신저 비둘기, 하늘 최고의 사냥꾼 매……
그저 ‘조류’로 뭉뚱그리기엔 아까운 이야기를 가득 품고 있는
새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자.

도서출판 따비의 신간 『부리와 날개를 가진 동물,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는 한자어의 미묘한 차이와 그 복잡성을 고려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삼국의 문화적 특성을 조명하고, 동서양 어휘 문화의 상호작용과 이에 대한 다양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어휘문화총서’ 네 번째 책으로, 아홉 종의 조류(鳥類에 관한 다양한 어휘를 다룬다.

새들과 사람, 어떤 관계를 맺어왔을까
지금 한국에서는 닭과 오리 정도를 제외하고는 식량으로 이용하는 조류가 거의 없지만, 새는 오랫동안 인간에게 가장 가까운 단백질 공급원이었다. 그러나 그저 먹을거리로만 인식하기에는 조류의 종류는 너무 다양하고, 인간과 맺은 관계도 다면적이다. 예를 들어, 늘 우리 주변에 있어 가장 친근하지만 때로는 애써 지은 곡식을 쪼아 먹어 원망을 산 참새가 있는가 하면, 맹금류이지만 인간에게 사냥의 수단으로 부림을 당했던 매가 있다. 지금은 비록 도시의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비둘기는 한때 그 귀소본능으로 인해 더없이 소중한 통신수단이었다. 화려한 깃털 색과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능력으로 인해 예로부터 귀한 대접을 받은 앵무새도 있다.
이런 새들이 각 문화권에서 받은 대접은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를까? 작은 참새는 한국에서는 귀리를 가리키는 한자어 작맥(雀麥, 어린 찻잎을 따서 만든 작설차(雀舌茶처럼 작은 것에 붙이는 이름이 되었는데, 일본에서도 쥐꼬리만 한 월급을 참새의 눈물에 빗대 ‘스즈메노 나미다호도노겟큐’로 표현한다. 동양에서는 견우와 직녀를 이어주는 다리를 놓기도 하고 반가운 손님이 오는 징조이기도 한 길조 까치는, 서양에서는 반짝이는 물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