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01 무병장수를 꿈꾸는 인간―근대의 ‘건강론’과 노인의 ‘장수’ / 최지희
‘양생’과 ‘장수’
‘건강’과 ‘위생’의 등장
건강과 장수의 비결은?
신생활운동 시기 국민의 ‘건강’과 ‘장수’
‘건강’은 문명의 상징―장수하는 노인들
‘아동건강대회’와 ‘노인건강대회’
‘건강과 장수를 사세요’―건강약과 장수약의 유행
무병장수의 오래된 욕망
02 20세기 음식, 영양 그리고 노령화―1960년대 노년학과 영양 프로그램/ 이동규
음식, 영양, 식생활
근대 영양학의 발전
영양학을 넘어 식습관과 식생활로
식생활과 고령화
고령화 속 영양 프로그램의 의미
03 와상노인환자의 욕창 돌봄기 / 김현수
와상과 2차적 신체 기능의 쇠약 그리고 욕창
욕창의 발생과 위험성
모친의 욕창 돌봄기
와상 상태의 장기화와 2차적 신체 기능 쇠약의 가속화
04 베이비 붐 세대의 특징과 소통 / 조민하
베이비 붐 세대와 소통의 중요성
정체성과 사회 문화적 특성
관계 인식과 소통적 특성
베이비 붐 세대에서 알파 세대까지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참고문헌 / 집필자 소개
생-로-병-사로 표현되는 인간의 생애주기에서, 현대인에게는 ‘죽음’보다도 오히려 ‘로(老’ 즉 노화가 가장 문제가 되는 것처럼 보인다. ‘맛있는 것을 먹고 즐기는 것’과 더불어 ‘노화 방지나 젊어 보이기’가 인생 최대의 목표인 것처럼 유행하고 있다.
오래 삶(長壽이 단지 오늘날에 비로소 인간의 중요 관심사가 된 것은 아니다. 인간이 의식을 갖게 된 이후부터 언제나 죽음 문제와 함께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은 인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지상과제였다. 진시황의 불로초 탐색이나 도가의 신선사상과 무릉도원 같은 설화 등은 인간의 이러한 욕망을 반영한 역사와 설화의 극히 일부분이다.
현대사회의 ‘노화, 나이 듦’에 관한 인식과 담론이 이전까지와 달라진 부분을 꼽자면, 노화를 일종의 질병 상태로 간주하는 인식이 팽배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인간 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화’라는 현상이 동반되고, 이에 따라 인생의 후반기가 질병과 함께 진행되며, 그 질병으로 말미암아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일반적인 현상이 되기 때문이다. 의료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는 질병조차 삶의 일부로서 필연적인 과정으로 보아 결국 감수(甘受하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첨단의 의료 기술이 인간 수명의 한계를 점점 늘려가고 있는 추세 속에서, 노화 - 나이 듦 자체를 필연적인 과정이 아니라 방지하거나 회피할 수 있다는 의식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것이다.
개인의, 그리고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노화 - 나이 듦에 대한 인식 변화에 맞춰서, 의료적인 관점에서도 노화 방지나 회피를 위한 다양한 처방이 제시되었다. 의료계의 이러한 대처는 사회 전반이나 개인의 노화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그에 더하여 노화 - 나이 듦을 방지, 예방, 회피하는 것과 관련된 ‘시장’의 움직임도 현대 사회에서 노화를 기피하고 나아가 죄악시하는 분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나이 듦과 함께하는 의료인문학』은 이러한 배경 하에 집필되었다. 작은 문고본에 나이 듦의 문제에 관한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