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_ 8
제1장 붓다의 공사상 - 21
1. 무상·무아·공 - 24
2. 잊혀진 공사상 - 32
제2장 유의 형이상학 - 39
1. 실재의 카테고리 - 40
2. 유부의 인식론 - 48
3. 영원한 실체 - 53
제3장 대승의 공사상 - 63
1. 반야경의 출현 - 64
2. 공의 수행자, 보살 - 72
3. 천녀의 설법 - 81
4. 비말라키르티의 침묵 - 88
5. 공의 지혜 - 93
제4장 용수의 근본 입장 - 97
1. 공의 사상가 용수 - 98
2. 무집착으로서 공 - 103
3. 인식과 언어 - 108
4. 언어를 넘어선 것 - 113
제5장 공의 논리 - 119
1. 유도 아니고 무도 아니다 - 120
2. 사물은 무엇으로부터 발생하는가 - 131
3. ‘가는 자’는 가지 않는다 - 140
4. 눈은 자기 자신을 보지 않는다 - 146
5. 무한소급과 상호의존 - 152
제6장 연기설의 발전 - 161
1. 《숫타니파타》의 연기설 - 162
2. 5지 연기 - 170
3. 10지 연기 - 175
4. 연기와 윤회 - 179
제7장 윤회와 공 - 189
1. 모든 것을 성립시키는 공 - 190
2. 윤회를 벗어나는 길 - 《인연심론》 번역 - 198
3. 윤회는 꿈 - 《인연심론》 해설 - 207
제8장 연기와 공 - 215
1. 공의 역설 - 216
2. 오지도 않고 가지도 않는다 - 224
에필로그 - 232
역자 후기(초판 - 238
개역본 후기를 갈음하며 - 241
참고문헌 - 254
불교의 핵심인 무아와 공 및 연기의 관계성을 풀어낸 역작
공(空을 알면 불교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 《공 공부》는 용수의 사상을 중심으로 공(空과 무아(無我 및 연기(緣起의 관계성을 통시적 관점에서 파헤친 탁월한 공사상 입문서이다. 용수의 사상을 중심으로 해설하고 있지만, 공사상의 연원을 고타마 붓다의 직설이 기록된 초기경전에서부터 살펴보며, 반야경류 경전과 유식사상, 여래장사상, 정토사상과의 연결성까지 거의 모든 불교사상에 나타난 공사상을 조명하고 있다.
제1장 ‘붓다의 공사상’에서는 《숫타니파타》와 《상윳타 니카야》 등 초기경전에서 이미 등장한 공(空의 사상을 조명하며, 무상(無常 및 무아(無我와의 관계성을 설명하였다.
제2장 ‘유(有의 형이상학’에서는 설일체유부의 실재론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용수의 공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용수가 끊임없이 비판했던 설일체유부의 3세실유론이 무엇이며 왜 등장했는지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붓다의 사상이 불교 교의가 이론화,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실재론적으로 이해된 까닭을 알 수 있다.
제3장 ‘대승의 공사상’에서는 용수 사상의 직접적 전제가 된 반야경般若經 계통의 경전, 즉 『팔천송반야경』을 비롯하여, 《반야심경》《금강경》《유마경》에 나타난 공사상과, 초기 대승불교 주창자들이 어떻게 초기불교의 공사상을 재발견했는지를 설명하였다.
제4장 ‘용수의 근본 입장’과 제5장 ‘공의 논리’에서는 용수가 주장하는 불교 교리에 대한 기본적 입장과 이론을 설명하였다.
제6장 ‘연기설의 발전’에서는 용수의 연기와 윤회 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연기와 윤회에 대한 다른 불교학파의 사고방식을 소개하였다.
제7장 ‘윤회와 공’에서는 용수의 가장 짧은 저작인 《인연심론因緣心論》을 번역 해설하였다. 일곱 구절의 게송으로 12연기를 해설하고 윤회를 설하면서, 윤회를 벗어나는 깨달음에 이르는 길도 설하고 있다.
제8장 ‘연기와 공’에서는 ‘모든 것이 공이 아니라면, 어떤 것도 성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