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장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능력
1. 의사소통 능력
2. 말하기 능력
3. 말하기 능력의 구성 요인
4. 한국어 말하기의 특징
2장 말하기 능력 평가의 기본 개념
1. 말하기 평가 유형
2. 언어 평가의 요건
3. 말하기 평가 구성 요인
4. 말하기 평가 문항 유형
5. 말하기 평가의 채점 체계
3장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실제
1. 발화의 내용
2. 발화의 조직
3. 발화에 나타난 표현
4. 발화의 전달
4장 말하기 숙달도 평가 기준
1. 말하기 숙달도 평가 문항 구성표
2. 말하기 숙달도 평가 문항 예시
3.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등급별 채점 기준 예시
5장 온라인 기반 말하기 숙달도 평가 도구 활용 방법
1. 컴퓨터 기반 언어 평가
2. 인터넷 기반 언어 평가
3. 인공지능 활용 온라인 평가
참고문헌
[ 부록 ]
부록 1.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문법 등급 목록(4단계
부록 2.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어휘 등급 목록(4단계
부록 3. 말하기 숙달도 평가 문항 예시
지은이 소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가 듣기, 읽기 등 여타 영역의 평가에 비해 어려움을 겪어 왔던 요인 중에는 말하기 숙달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문 채점 인력의 확보와 이들의 훈련 및 관리의 어려움도 한몫을 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를 준비하는 한국어 교원과 예비 한국어 교원 을 위해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에 필요한 기초 개념과 평가 원리, 구체적인 채점 방법에 대해 사례를 들어 쉽게 설명한 현장 기반 전문 서적이라는 의의가 있다. 이 책은 1959년 국내 최초의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이래 60여 년에 걸쳐 총 150여 개국의 외국인 및 재외동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며 한국어 교육, 연구, 평가 관련 경험을 축적해 온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 집필진들의 경험을 집약하여 말하기 평가 관련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이 책에서는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 통용되고 있는 의사소통 능력, 말하기 능력의 개념과 함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를 위해 숙지해야 할 주요 개념,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구성 요인, 채점 체계, 평가 기준, 평가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