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사무엘상 -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
저자 김구원
출판사 홍성사
출판일 2019-01-30
정가 25,000원
ISBN 9788936510268
수량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를 펴내며 / 본문에 사용된 약어 / 서론
1. 한나의 믿음과 사무엘의 출생: 1:1-20 / 한나의 무자함 (1-3절 브닌나의 핍박 (4-8절 성전에서 서원함 (9-11절 엘리의 착각?과 축복 (12-18절 사무엘의 탄생 (19-20절
2. 사무엘을 하나님께 드림: 1:21-2:11 / 한나가 젖 떼는 기간을 가짐 (21-24a절 사무엘을 성전에 봉헌함 (24b-28절 한나의 노래 (2:1-11
3. 엘리 가문의 죄악과 사무엘의 성장: 2:12-36 / 제사장의 몫 (12-14절 제물을 도적질하는 아들들 (15-17절 사무엘과 한나 (18-21절 엘리가 아들들을 꾸짖음 (22-26절 엘리 가문에 내린 심판 예언 (27-36절
4. 사무엘의 소명: 3:1-4:1a / 아이에서 선지자로 (1절, 21절, 4:1a절 사무엘이 성전에 누움 (2-3절 사무엘을 세 번 부르심 (4-9절 사무엘이 여호와의 말씀을 들음 (10-14절 사무엘이 말씀을 엘리에게 전함 (15-18절 사무엘이 선지자로 인정받음 (19-20절
5. 블레셋의 승리와 언약궤의 상실: 4:1b-22 / 블레셋 군과의 대치, 그리고 첫 패배 (1b-2절 언약궤를 전쟁터로 가져옴 (3-5절 블레셋의 분발과 이스라엘의 패전, 궤를 빼앗김 (6-11절 패전 소식이 실로에 도달함 (12-16절 엘리의 죽음 (17-18절 이가봇의 탄생 (19-22절
6. 하나님의 승리: 5:1-12 / 하나님의 궤를 아스돗 다곤 신전에 둠 (1-2절 다곤 신상이 여호와의 궤 앞에 자꾸 넘어짐 (3-5절 블레셋의 도시들에 독종이 발생함 (6-10a절 여호와의 궤를 돌려보내기로 결정함 (10b-12절
7. 언약궤의 개선과 이스라엘의 모호한 영접: 6:1-7:1 / 일곱 달 동안 궤가 블레셋에 머무름 (1절 제사장과 복술자에게 도움을 요청 (2절 제사장과 점술가들의 조언 (3-6절 궤를 싣고 갈 암소와 수레를 준비함 (7-9절 암소가 벧세메스로 나아감 (10-12절 선지자와 제사장들이
우리의 질문, 우리의 해답을 담은
한국형 주석이 온다!

1. ‘찾아보는’ 주석이 아니라 ‘읽는’ 주석 시리즈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는 목회자들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던 주석을 그리스도인 모두의 품에 돌려주기 위해 기획된, 대중 주석 시리즈다. 지금까지 출간된 주석은 전문용어와 언어의 장벽이 너무 높고, 해외 학자들의 논쟁을 주로 소개하고 있어서 신학, 성서학 배경이 없는 독자가 접근하기 힘들었다.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는 성경을 깊이 알고 싶은 독자를 위해 대중적이면서도 전문성을 가미한 주석이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기획, 출간되었다. 이를 위해 목회자만이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이 성경 옆에 두고 볼 수 있도록 저술·편집되었으며, 전문적 지식은 없지만 성경공부를 인도해야 하는 분들이 성경을 깊이 볼 수 있도록 본문 자체의 해설에 집중하였다. 고대근동학과 구약성서를 전공한, 주목받는 학자인 김구원 교수가 집필한 《사무엘상》을 시작으로 통독 주석 시리즈는 계속 출간될 것이다.

2.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의 특징
이 시리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자들의 논쟁보다 본문 자체의 해설에 집중했다.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을 읽을 때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질문들을 다루었다. 둘째, 단어 중심보다 문단 중심 주석으로 통독이 가능하다. 이는 본문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해설들을 수록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필요할 때마다 참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도표, 지도, 배경 글을 수록하였다. 넷째, 질문과 적용, 묵상을 돕는 글을 각 장 끝에 실음으로써 성경 공부 교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개인 묵상에도 유용하다. 다섯째, 쉬운 문체로 저술하되 최신의 학문적 성과를 본문 곳곳에 반영하였다.

3. 고대근동학적 배경과 신학적 메시지의 조화
저자 김구원 교수는 고대근동학과 구약성서를 전공한 학자이다.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 《사무엘상》에는 고대근동학적 배경과 신학적 메시지가 충돌 없이 조화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