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비정규직이란 무엇인가
1.개념의 탄생
2.비정규직의 유형
3.규모와 기준
2장|비정규직은 새로운 현상인가
1.비정규직화 현상
2.자본주의 고도화와 경제의 변화
3.비정규직 고용의 이점
3장|비정?규직, 무엇이 문제인가
1.비정규직 일자리의 문제점
2.제도적 문제
3.사회적 문제
4장|비정규직을 둘러싼 논쟁과 현실
1.자본주의 선진국들의 비정규직 정책
2.한국의 비정규직 법 논쟁
5장|비정규직, 어떻게 할까
1.비정규직 문제의 대책
2.좋은 사회, 좋은 나라
출판사 서평
1. 한국의 경제 위기를 투영하는 개념, 비정규직
1997년 IMF 경제 위기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상태에서 불어 닥친 세계 금융 위기 속에서 2009년을 살아내는 한국인들에게 ‘비정규직’이라는 단어는 굉장히 친숙하다. 그런데 지금은 각종 언론 매체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이 단어는 십여 년 전만 해도 흔히 쓰이는 말이 아니었다. 새로운 개념이 생겨났다는 것은 사회가 변화하며 새로운 현상이 자리 잡고 있음을 뜻한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를 가지는 ‘비정규직’도 단지 일시적인 불황이나 고용난 때문에 잠시 거쳐 가는 현상이 아니라, 우리...
1. 한국의 경제 위기를 투영하는 개념, 비정규직
1997년 IMF 경제 위기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상태에서 불어 닥친 세계 금융 위기 속에서 2009년을 살아내는 한국인들에게 ‘비정규직’이라는 단어는 굉장히 친숙하다. 그런데 지금은 각종 언론 매체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이 단어는 십여 년 전만 해도 흔히 쓰이는 말이 아니었다. 새로운 개념이 생겨났다는 것은 사회가 변화하며 새로운 현상이 자리 잡고 있음을 뜻한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를 가지는 ‘비정규직’도 단지 일시적인 불황이나 고용난 때문에 잠시 거쳐 가는 현상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고용 방식과 일자리의 성격 자체의 전반적인 변화를 내포하고 있는 개념인 것이다.
비정규직 고용은 IMF 위기 이후 기업에게 이익이 되어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명목으로 계속 확산되어왔지만, 이로 인해 노동자들에게 고용 불안정과 저임금을 감수하게 하면서도 권리를 제대로 행사할 수 없게 하는 큰 사회 문제이자 쟁점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2008년에 한 20대 방송 작가가 열악한 근무 환경과 업무에 쫓겨, 일하던 방송국 옥상에서 자살한 사건이 있었다. 그녀의 수입은 월 60만 원 정도였다고 한다. 비정규직 고용 기간을 2년으로 제한하는 법의 시행을 앞두고 이랜드 계열 홈에버 사가 비정규직을 대량 해고해, 해고당한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이랜드 노동조합이 파업을 한다는 기사도 오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