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왜 현장재난 인문학인가 -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 번역총서 6 (양장
저자 다카쿠라 히로키, 야마구치 무쓰미
출판사 역락
출판일 2023-02-24
정가 29,000원
ISBN 9791167424457
수량
발간사
역자 서문

서론 : 왜 현장재난인문학인가

제1부 무형민속문화재의 재난과 부흥사업

제1장 문화재화하는 지역문화
- 대규모 재난 이후 민속문화재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1. 시작하는 말
2. 민속문화재와 민속학
3. 문화의 재난, 문화재의 재난
4. 〈미야신문〉 조사와 민속문화재
5. 문화재화하는 민속과 지역문화의 갈 길
6. 맺음말

제2장 살아있는 문화재를 계승하다
- 무형문화유산과 피해 및 부흥
1. 시작하는 말
2. 문화재행정으로서의 무형문화유산 부흥지원
3. 민속지(誌 제작 프로젝트-민속학이 할 수 있는 일
4. 맺음말

제3장 무형문화유산의 방재라는 사고방식
- 동일본대지진의 교훈과 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스의 시도
1. 지진부흥에서 방재(防災로의 전환
2. 무형문화유산의 방재란 무엇인가?
3. 무형문화유산의 방재에 필요한 것
4. 아카이브스 구축
5. 해외로의 발신

제4장 부흥 속의 발견과 창조
- 지진부흥 관련사업에 관한 한 민속학자의 감상
1. 시작하는 말-지진부흥에 관여하는 것의 갈등
2. ‘요구에 부응’하는 방법
3. ??고이시 민속지??의 경험―지역에 환원해야 하는 성과의 모색
4. 부활을 서두르지 않는다―노리노와키 사슴춤의 부활과 공동성의 재편
5. 백 개 마쓰리 부흥 프로젝트―‘미래에 전하기 위한’ 부흥지원
6. 맺음말

제2부 재난지역에서 본 민속예능의 부흥과 계승

제5장 마쓰리의 ‘부흥’ 과정
- 미야기현 야마모토정의 야에가키 신사의 사례
1. 시작하는 말
2. 야마모토정의 재난과 부흥
3. 마쓰리의 재개
4. 신사의 부흥
5. 맺음말

제6장 재난지역에서 본 민속예능의 미래
- ‘어린이 가구라’의 탄생과 그 활동을 보다
1. 시작하는 말
2. 지진 이전의 나카하마 지구와 〈나카하마 어린이 가구라〉
3. 재난을 당한 〈나카하마 어린이 가구라〉
4. 〈나카하마 어린이 가구라〉에서 〈어린이 가구라〉로
5. ‘종합적인 학습시간’으
『왜 현장재난인문학인가?재난 이후의 지역문화와 피해자의 민속지』는 2011년 3월 11일 동일본에서 발생한 대지진과 쓰나미 그리고 그 여파로 발생한 도쿄전력후쿠시마제1원전사고라는 복합적 재난에 직면한 이후 출간된 일본의 연구서(『震災後の地域文化と被災者の民俗誌-フィ?ルド災害人文?の構築』, 2018, 新泉社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책은 인류학적 · 민속학적 관점에서 재난지역의 전통문화와 민속예능 등 무형문화유산의 ‘재난 후 부흥’이 피해자와 지역의 생활 재건 및 공동체의 부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며 조명한 연구자들의 논고를 엮은 것이다.

참여 연구자이자 편저자 중 한 분인 다카쿠라 히로키 교수는 서론에서 ‘현장재난인문학’을 “현장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사회적 가치의 학술적 탐구를 하면서 재난부흥에 관여하는 실천적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는 또 현장 조사를 주요 연구 방법으로 삼는 ‘문화인류학, 민속학, 종교학’이 역사적인 경위와 문화적인 배경 안에 존재하는 개인과 사회가 재난 부흥을 위한 지원을 어떻게 실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지침을 제시해 줄 중요한 정보라고 강조하며, 우리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재난 앞에서 왜 ‘현장재난인문학’에 눈을 돌려야 하는지를 일깨워준다.

특히 대지진과 쓰나미에 의한 재난에 더해 원전사고라는 ‘핵 재난’까지 겹친 복합재난으로 하루아침에 가족과 삶의 터전을 상실한 채 고향을 떠나 일본 각지로의 피난이 불가피해진 후쿠시마현을 비롯한 동일본의 이재민들 및 지역공동체와 연대하며 재난부흥 과정에 참여하였던 연구자들은, 각 지역의 종교 의례와 마쓰리(祭り 같은 민속예능과 그를 위한 유형문화재(예능을 위한 용구 등의 부흥이 지역공동체의 물리적 부흥뿐 아니라 피해자들의 정신적 치유와 관계회복 및 재건에 적지 않은 효과를 발휘하였음을 절감하였노라고 밝히고 있다. 나아가 재난과 그 부흥의 역사를 돌이키고 그 안에서 발휘되는 민속예능 등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알고 행정적 · 학술적 측면에서의 자료정리와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