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더 좋은 어른이 되는 논어 수업 이야기 5
프롤로그 논어 읽는 아이는 태도가 다르다 12
[1교시] 왜 초등 논어일까?
1. 학습 : 행복으로 가는 길을 걷는다 19
2. 학습 방법 : 깊이 있는 공부법을 알려준다 25
3. 메타인지 : 가능과 불가능의 경계를 구분한다 37
4. 도덕성 : 경쟁력을 높이는 첫 단추 49
5. 민주시민 : 생각의 균형점을 찾는다 62
6. 창조성 : 거인의 어깨에 오르고 내려오다 70
[2교시] 논어 교사는 어떤 역할일까?
1. 무지한 스승 : 누구나 스스로 배울 수 있다 85
2. 일상으로의 안내자 : 생각의 기폭제를 제공한다 89
3. 함께 배우는 사람 : 예상치 못한 기쁨을 누린다 95
4. 모범이 되는 어른 : 애정과 관심으로 시작한다 98
[3교시] 논어 수업은 어떻게 해야 할까?
1. 암송 : 자기 안의 타자를 만나다 105
2. 필사 : 완벽한 사색의 시간을 갖다 107
3. 대화 : 사고를 확장하다 109
4. 질문법 : 질문의 수준이 대화의 깊이를 결정한다 112
5. 정리 : 깨달은 것을 삶에 적용한다 116
[4교시] 논어는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1. 인성 : 근본을 세운 사람만이 학문을 할 수 있다 121
2. 예 : 인간의 아름다움을 완성한다 127
3. 인 : 나보다 다른 사람을 먼저 생각한다 135
4. 경청 : 많이 들어야 말에 허물이 없다 142
5. 검약 : 말과 행동을 아끼면 실수가 적다 148
6. 자립 : 남의 인정에서 벗어나 스스로 책임진다 153
7. 공헌 : 타인의 수고를 대신하면 행복해진다 159
[5교시] 논어는 어떤 변화를 가져다줄까?
1. 의로움 : 군자는 의로움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167
2. 주도 : 주도적인 사람은 상황을 긍정적으로 만든다 172
3. 이립 : 자기 정체성을 세운 사람은 흔들리지 않는다 179
4. 언행 : 말은 신중하게 행동은 민첩하게 한다 185
5. 신뢰 :
책 속에서
지식과 기술은 인공지능을 따라갈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태도는 인간에게 남아 있는 마지막 역량이다. 앞으로 우리 아이들에게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좋은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 p.13
머리에서 몸으로 가는 체화 과정인 습(習이 필요하다. 습은 새의 날갯짓을 본뜬 글자다. 어린 새가 나는 연습을 하듯 사람도 학습을 그치지 않아야 한다.
--- p.21
메타인지 학습법은 뇌를 쓰는 공부법이다. 대표적으로 SQ3R이 있는데, Survey, Question, Read, Recite, Review에서 앞 글자를 딴 것이다.
--- p.37
논어는 모두 20편, 48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482번째 마지막 구절이다. 마지막 내용은 첫머리 학이(學而편 1장만큼 중요하다.
--- p.44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일도 마찬가지다. 자신의 판단으로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모습에서 우리는 자기 삶을 당당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아이들의 역동적인 에너지를 볼 수 있다.
--- p.61
창조성은 능력이 아니라 태도와 자세에서 비롯된다. 기존의 것에 의문을 품고 새로운 발상을 하려는 태도와 자세가 창조성을 키운다.
--- p.81
적용, 분석, 평가, 창의는 고차원적 질문이다. 고차원적 질문을 하면 아이들 생각이 활발해진다. 아이들의 지능과 사고력을 높이기 위해 교사는 의도적으로 고차원적 질문을 해야 한다.
--- p.113
위정(爲政편 18장은 공자보다 48세나 어린 자장의 질문으로 시작한다. 자장은 자기 수양보다 관직에 더 관심을 가졌다.
--- p.145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주도적인 몸가짐은 행복하다고 느끼는 일이다. 우리는 주도적으로 행복을 선택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첫 번째로 설계하는 창조자이다.
--- p.175
논어가 아이들의 삶 속에 자리를 차지하고 의미를 얻으려면 논어를 자기 삶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p.233
아이들을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