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제1장 일기
생활의 즐거움
유치원에서
휴가 안 가세요
49재에 가서
살맛
통 큰 큰형님
20년 후
이런 음악회
놀토음악회
수상쩍은 일기
찾아가는 음악회
성철이라는 사람
제2장 음악의 날개
지휘자 양반, 다리 좀 치워주시오!
인기 악기와 비인기 악기
악당의 출현
목사님의 금일봉
잃어버린 ‘콩나물’을 찾아서
성악가의 실수
묘약의 효과
그날 밤, 그 방에서 무슨 일이
한 자유예술가를 추억함
어떤 야외음악회
산새, ‘응새’되어 날다
어느 시간강사 이야기
어느 대학교수 이야기
어느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어느 레슨선생 이야기
어느 악장 이야기
어느 합창단 이야기
어느 음악교사 이야기
오페라에서 생긴 일
어느 음악학자 이야기
어느 악기제작자 이야기
청중의 풍경
어느 성악가의 술이야기
어느 기타리스트 이야기
어느 지휘자 이야기
어느 만학도 이야기
제3장 나를 적시고 간 노래들
나이도 어린데
예써, 아이 캔 부기
저 타는 불길을 보라
플랜더스의 개
소녀의 기도
명태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
점이
에버그린
서른 즈음에
검은 장갑
사랑의 서약
오! 거룩한 밤
귀에 익은 그대 음성
티벳 자비송
은발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
부라보콘
즐거운 나의 집
졸업식 노래
편지
원티드
나 홀로 길을 가네
오빠는 풍각쟁이야
사쿠라
그네
▶ 국도 못 끓이는 콩나물 대가리가 뭐 그리 대수라고!
공연 전 악보를 잃어버렸다는 것을 깨달은 음악단장이 급하게 악보를 찾아 헤맨다. 공중전화 부스에 놔두고 왔나? 퍼뜩 생각이 든 단장은 청소 아줌마를 찾는다. 구원처럼 만난 청소 아줌마에게 다급하게 악보의 행방을 묻는 단장. 청소 아줌마는 “콩나물 그림 말잉교?” 하고 답한다. 주섬주섬 꺼내 든 악보 뭉치를 낚아채 부리나케 뛰어가는 단장의 어깨너머로 청소 아줌마가 외친다. “국도 못 끓이는 콩나물 대가리가 뭐 그리 대수라고!”
저자는 유쾌한 문장 속에 음악가의 고달픈 현실과 음악에의 사랑을 담는다. 「잃어버린 콩나물을 찾아서」는 이러한 특징이 잘 담겨 있는 에피소드로, 널리 알려진 비유인 콩나물 음표와 악보를 소중하게 안고 뛰어가는 음악가, 그런 그를 이해하지 못하는 청소 아줌마의 일화가 재미있고 애달프게 느껴지는 챕터이다.
콩나물 에피소드를 비롯하여, 악단이 악당으로 변해버린 사연, 성악가의 실수에 관객이 외친 한마디, 아버지 합창단의 일화 등 무대 위와 아래에서 음악가들이 겪은 에피소드가 흥미롭게 펼쳐진다. 더불어 오케스트라를 유지하기 위해 몇십 년간 자신의 통장 하나 개설하지 못한 악장, 생업과 악단의 생활을 번갈아 반복하며 음악을 이어나가는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부조리에 맞서는 시간강사 작곡가 등 동료 음악가들이 걸어가는 고달프고 다양한 음악의 길을 풀어놓는다.
▶ 나를 적시고 간 노래, 에세이적 비평의 시작
오늘날 음악비평은 지나치게 딱딱하고 규범적이어서 수용자 대중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공감이 즐겨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저자는 『잃어버린 콩나물을 찾아서』를 통해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에세이적 비평, 혹은 비평적 에세이를 선보이고, 이전과 다른 음악비평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보고자 한다. _〈서문〉 중에서
저자는 음악가의 생활과 일화뿐 아니라 자신이 공감하고 영향을 받은 노래들의 단상을 엮었다. 1970년도 유행했던 CM송 〈부라보콘〉을 들으며 큰형이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