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4~7세 조절하는 뇌 흔들리고 회복하는 뇌
저자 김붕년
출판사 코리아닷컴(Korea.com
출판일 2023-06-30
정가 18,000원
ISBN 9791190488471
수량
들어가는 글_4~7세 학령기 전 뇌 발달 핵심은 ‘조절 능력’입니다

Part 1. 4~7세에 키우는 조절 능력, 공부하는 뇌의 기초공사
Chap 1. 유아에서 아동으로, 새로운 문을 여는 시기
-새로운 발달이 시작되는 4~7세
-공부 잘하는 뇌를 만든다는 것
-공부력은 4~7세의 조절 능력에서 싹튼다

Chap 2. 마음껏 내달려야 발달하는 뇌
-아이의 뇌는 자기에게 가장 맞는 방법을 선택한다
-놀이하는 뇌가 참아내는 뇌를 만든다
-뇌과학적으로, 공부 잘하려면 실컷 놀아야 한다

Chap 3. 학령기를 단단하게 맞이하려면
-‘처음학교’ 앞두고 조급해지는 부모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 아이’의 기질 이해하기
-아이마다 뇌의 발달이 요구하는 환경은 다르다
-적응의 문제가 아니라 환경의 문제가 아닌지 살펴야
-아이의 반항은 방향이 틀렸다는 사인

Part 2. 4~7세에 키우는 정서 지능, 공부하고 싶은 마음 그릇
Chap 4. 배우고 싶은 마음, 공부 동기
-흔들리며 발달하는 사춘기 예고편, 4~7세
-정서적 안정감으로 만드는 공부 동기
-아이의 정서 지능을 위한 부모의 미션
-평생 쓸 유대감 마일리지를 최대로 끌어올릴 황금기

Chap 5. 내 마음을 다루는 능력, 정서 지능
-조절 능력과 정서 지능을 주도하는 뇌의 핵심, 전두엽
-아이 마음을 읽어 주며 긍정 회로를 강화할 기회
-마음을 금방 드러내는 아이들, 놀이가 치료가 되는 이유

Chap 6. 정서 지능이 학습 능력을 키운다
-탐구하고 싶은 호기심, 칭찬받아 온 경험이 만드는 학습 능력
-상상하는 아이들에게 팩트 체크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
-내향적인 아이가 공부에 유리하다?
-성공적인 엄마표 학습 vs 실패하는 엄마표 학습

Part 3. 조절 능력과 정서 지능을 만드는 좌절을 견디는 힘
Chap 7. 학습의 시작은 공감 능력
-문해력은 소통하는 능력에서 시작된다
-배려를 강요하면 가식적인 아이로 자란다
-이해, 존중, 논
‘공부하는 뇌’의 기초공사가 되는 조절 능력을 키우는 시기
뇌 발달을 돕는 양육의 핵심은 각 발달 시기마다 뇌가 제 기능을 충분히 발현하도록 돕는 데 있다. 4~7세는 자기의 욕구를 표현하고, 새로운 규칙을 배워가고, 규칙을 잘 지키고 작은 성취를 쌓으면서 긍정 경험을 마련해서 학령기를 원만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준비하는 시기다. 그래서 4~7세 뇌 발달의 핵심은 조절 능력이다. 조절 능력은 잘 참거나 욕구를 억누르는 능력이 아니다. 자신의 정서, 태도, 행동 패턴 등을 상황에 맞게 적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조절 능력이 자란다는 것은 아이가 자기의 욕구와 의사를 표현할 수 있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설득하려고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조절한다는 것이다. 이때 부모가 아이의 관심사를 잘 관찰하고, 훈육을 통해 경계선을 제시하면서, 아이가 자신을 마음껏 표현하고 발산하도록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공부 동기 심어주는 정서 지능은 부모의 생각 습관과 양육 태도가 열쇠
4~7세 자녀가 정서 지능 발달이라는 과업을 해내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열쇠는 부모의 생각 습관과 양육 태도다. 4~7세 아이는 에너지를 쏟으면서 에너지 조절하는 법을 배우는 중이기 때문에 많이 흔들린다. 10대가 사춘기라면 4~7세는 사춘기 예고편이다. 가끔 선 넘게 버릇없는 말도 하고, 실수도 자주 하고, 말도 안 듣고, 고집도 세진다. 이때 부모의 역할은 위험을 피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다루는 능력인 정서 지능을 키우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4~7세 아이는 낯선 세상을 탐구하면서 수많은 새로운 자극을 해석하고 처리하는 중이다. 아이의 욕구를 최대한 받아주고 따라가 주는 것, 아이가 원하는 활동을 충분히 할 기회를 주는 것이 두뇌를 최적화하는 지름길이다. 아울러 부모와의 단단한 애착, 부모가 나를 보는 시선으로부터 싹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해소하면서 해보겠다고 도전하는 마음, 긍정 경험을 통한 자신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