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역자 서문·5
톡메 상뽀(무착 대사 전기·9
일러두기·18
I. 정례사頂禮辭·27
II. 논의 이름(論名과 번역의 예경(譯禮·29
1. 논의 이름을 밝힘·30
2. 번역의 예를 올림·32
3. 예찬禮讚·32
4. 입서入誓·35
5. 겸허謙虛함을 보임·36
6. 선설宣說의 필요성·38
III. 제1품 보리심의 이익·41
1. 가만난득暇滿難得·41
2. 의락意樂이 드묾·43
3. 보리심의 공동공덕共同功德·44
1 죄업을 끊음·44
2 안락을 얻음·45
3 소원을 성취함·46
4 명의名義가 바뀜·47
5 보리심의 공동공덕을 여섯 가지로 비유함·48
4. 보리심의 특수공덕·53
1 보리심의 종류·53
2 원보리심과 행보리심의 본질적 차이·54
3 원보리심과 행보리심의 공덕상의 차이·55
5. 발심이 공덕이 되는 이유·56
1 교증敎證·56
2 이증理證·57
6. 발심 중생을 찬탄함·62
1 스스로 보살행을 실천함·62
2 보시의 수승함·62
3 수승한 복전이 됨·64
4 고통도 보살에게 해를 주지 못함·65
5 정례를 받는 귀의처가 됨·65
IV. 제2품 죄업을 참회함·67
1. 발심을 결택함·67
1 발심의 본질·67
2 발심의 분류·67
2. 발심을 행지行持함·68
1 계를 받는(受戒 방법·68
2 계를 지키는(護戒 방법·72
3 계를 정화하는 방법·73
3. 죄업을 참회함·74
가. 가행加行·74
1 죄업을 정화함·74
V. 제3품 보리심을 수지受持함·109
2 이타利他를 위하여 마음을 닦음·114
나. 정행正行·122
다. 후행後行·123
1 자리自利로 인하여 환희심을 냄·123
2 이타利他로 인하여 환희심을 냄·125
3 다른 존재로 하여금 환희심을 내게 함·127
4. 보리심 수행의식 염송문·128
VI. 제4품 불방일不放逸·133
1. 불방일의 의의·133
2. 발보리심 수행법을 삼가 배움·134
1 보
1.
『입보리행론』은 인도의 샨티데바 논사가 지은 대승보살행의 입문서로서 보리심에 대한 가르침을 자세하고도 광범위하게 담은 가장 뛰어난 논서로 알려져 있다. 당연히 인도와 티베트에서는 예로부터 『입보리행론』에 대한 다수의 주석서가 찬술되었다. 그 가운데 근래의 주석서로는 오명불학원의 진메이펑춰 린포체가 강설한 『입보살행론광석入菩薩行論廣釋』이 유명하다. 이 책은 일찍이 지엄 스님에 의해 우리말로 번역되어 『입보리행론 강해(1~3』로 출간된 바 있는데, 그 분량이 방대하여 일반 독자들이 읽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반면 이 『요해』는 『입보리행론』에 대한 간단명료한 설명 및 그 요점이 매우 잘 집약된 해설서로서, 티베트 역사상 『입보리행론』에 제일 정통한 두 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아 무착 대사로 추앙받는 톡메 상뽀가 지은 『입행론석ㆍ선설해入行論釋ㆍ善說海』를 오명불학원의 수다지 켄포가 중국어로 번역하여 출판한 것을 다시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2.
불교의 궁극 목적인 해탈도의 수행에 있어 번뇌를 항복받기 위해서는 산란한 마음을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출리심을 얻고 보리심을 내며 육바라밀의 실천을 통해 지혜를 이루어야 하는데, 『입보리행론 요해』에서 다루는 중요한 교의이기도 하다. 책의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은이 톡메 상뽀에 대한 간략한 전기를 소개하고, 이어서 논의 이름과 논을 설한 이유를 밝히고 설명한다.
‘제1품 보리심의 이익’에서는 사람 몸 받기 어려움을 논하고, 보리심의 공동공덕共同功德을 비유로 설명하고, 원보리심과 행보리심의 차이와 수승함을 논하고 있다.
‘제2품 죄업을 참회함’에서는 발심을 결택하고 계를 통해 발심을 행지하는 방법과 삼보에 죄를 참회하고 귀의하는 방법, 그리고 죄업에 대치하는 법을 설하고 있다.
‘제3품 보리심을 수지함’에서는 수희, 찬탄, 회향하는 법과 자리이타를 위한 마음 닦음을 설하고 있으며, 보리심 수행의식 염송문도 소개한다.
‘제4품 불방일’에서는 불방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