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치세治世와 구도(수신의 학문, 『주역』 그리고 『주역선해』 5
일러두기 29
1부 『주역선해』는 어떤 책인가 37
I. 불교 39
1. 명나라 불교 - 융화 융합 통일의 시대 39
2. 우익지욱 선사의 생애 48
3. 『주역선해』의 저술 동기 58
II. 주역 90
1. 『주역』의 문자적 의미 90
2. 역(易=日+月과 밝음(明=日+月 - 모든 종교의 연원 91
1 역易은 해(日와 달(月이 바뀌는 것(易 91
2 밝음(明 - 모든 종교의 연원 92
3. 『주역』 - 사유의 원형 98
1 국가존립에 대한 사유 99
2 다스림(治에 대한 사유 104
3 올바른 사유 - 궁리진성 106
III. 주역과 불교의 공통점 111
1. 주역과 불교는 변화를 말한다 111
2. 주역과 불교는 ‘공존 공생의 세계관’을 지향한다 114
3. 성인의 우환의식 119
1 『주역』에서의 우환의식 119
2 붓다의 우환의식 - 전도 선언 123
2부 『주역선해周易禪解』 역주 133
繫辭上傳
계사상전 제1장 151
계사상전 제2장 191
계사상전 제3장 207
계사상전 제4장 220
계사상전 제5장 245
계사상전 제6장 267
계사상전 제7장 273
계사상전 제8장 275
계사상전 제9장 298
계사상전 제10장 325
계사상전 제11장 342
계사상전 제12장 364
周易禪解卷第九 繫辭下傳
계사하전 제1장 381
계사하전 제2장 396
계사하전 제3장 418
계사하전 제4장 421
계사하전 제5장 424
계사하전 제6장 454
계사하전 제7장 461
계사하전 제8장 477
계사하전 제9장 482
계사하전 제10장 490
계사하전 제11장 494
계사하전 제12장 499
참고도서 509
1.
『주역』은 예부터 점서占書로 여겨져 왔으나, 「계사전繫辭傳」의 등장으로 단순한 점서에서 우주의 모든 이치를 담은 지혜서 내지 철학서로 승화되었으며, 수신修身과 치세治世의 경전이자 제왕학帝王學이란 위상을 지니게 되었다. 『주역선해周易禪解』는 동양철학의 본류로 평가받는 『주역』에 대해 명말 4대 고승 중 한 사람인 우익지욱 선사가 명말청초의 혼란한 시대적 상황 하에서 시대적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지고 전면적인 해석을 가한 저술이다. 『주역선해』는 당시의 시대적 조류, 즉 타종 타교와의 융합融合 내지 융화融和라는 대세의 산물이지만, 역사적으로 『주역』의 「상 하경」을 비롯해 10익 전편全篇을 선해한 저작은 오직 『주역선해』뿐이다. 이 책 『불교로 풀어보는 주역철학』은 이러한 『주역선해』의 내용과 사상을 ‘우환의식’과 ‘회통會通’과 ‘융화融和’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묶어, 『주역』에서 보여주는 ‘우환의식’과 『주역선해』에서 보여주는 ‘회통과 융화’의 의미에 천착하고 있다. 그리하여 『주역선해』를 격의불교 이래 중국 전통사상과의 충돌이나 불교종파 간의 우열다툼 같은 소모적 갈등에서 벗어나 ‘회통과 융화’의 전범을 보여주는 책으로 평가하고 있다. 『주역선해』는 종래의 호교론이나 불교우위론을 주장하는 역대 저술들과 달리 『주역』을 중심에 놓고 선해함으로써 『주역』과의 ‘회통 내지 대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2.
이 책은 전체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주역선해』는 어떤 책인가?’에서는 『주역선해』에 대한 전반적인 해설을 담고 있다. 먼저 불교의 입장에서 『주역선해』가 등장한 시대적 배경으로서 명나라 말의 혼란상과 아울러 삼교 융화와 융합, 통일의 분위기를 소개하고, 저자인 지욱 선사의 생애를 서술하고 있다. 이어서 『주역선해』가 저술된 동기를 소개하고 있는데, 『주역선해』는 명대불교의 특징인 선정일치, 제종융합, 제교융화의 시대적 조류에서 나온 저술로서, 외부로부터의 불교 공격에 대한 반격도 아니고, 불교와 유교 상호 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