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아메리카에서 성소수자와 젠더 문제는 오랜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간 서구 중심적, 가부장적, 남성 중심적, 권력 지향적, 이성애 규범적인 특성 때문에 평등과 불평등의 문제보다는 권력의 문제에 집중하거나 의학적인 접근으로 이해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런 환경으로 인해서 국내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성과 젠더를 다룬 서적들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학문적 영역에도 국내의 사회적 인식이 깊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라틴아메리카 지역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들이 남성 중심적, 이성애 규범적 특성이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고 있어 비슷한 양상들을 보였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론적인 접근에서는 라틴아메리카 페미니즘의 발전과 그 과정(1장, 성소수자들의 권리 보장 제도의 발전 과정(2장을 다룬다. 사례 중심의 접근에서는 콜롬비아의 무력분쟁과 젠더박해에 대해 살펴보고(3장, 브라질의 흑인 여성, 쓰레기를 줍는 여성들의 힘을 조망하며(4장, 멕시코가 시도하고 있는 페미니즘 외교를 분석(5장, 과테말라 원주민 여성들의 젠더화 과정들을 통해 사회적 변화들을 추적하고 그과정에서 확대되고 있는 젠더 불평등을 재조명한다(6장.
이순주는 제1장 「라틴아메리카 페미니즘의 발전」에서 라틴아메리카의 페미니즘과 페미니즘 운동이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발전해 왔는가를 밝히는 동시에 서구의 페미니즘과 어떤 차이점을 지니는지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라틴아메리카 페미니즘은 식민주의, 아프리카 민족의 노예화, 원주민의 주변화 등으로 말할 수 있는 정치사회적 맥락에 뿌리를 두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라틴아메리카의 정치·경제·사회적 변화는 대단히 역동적이었고, 이는 이 지역 페미니즘의 이슈와 전략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즉, 아프리카계 라틴아메리카 여성, 원주민 여성, 레즈비언, 노동자 여성, 빈민 여성, 노조 여성 등 다양한 집단이 각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정체성과 권리 인정을 요구했고, 젠더, 시민권, 인종과 민족, 섹슈얼리티, 계급,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