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
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와츠지 테츠로의 풍토 개념과 문화적 의의
하이데거의 현존재를 넘어서
풍토란 무엇인가?
‘탈자적 존재’와 공동의 자각
지역 결정론을 넘어서
다자 간 차원의 윤리
풍토적 한계를 넘어서는 개인과 ‘간풍토성間風土性’
2장 개방성과 풍토: 일본 전통 가옥에서 재발견한 지속가능성의 의미
일본 전통 가옥에 대한 비판
개인주의와 복도의 등장
고정벽과 환풍구
일본 전통 가옥의 개방성
근대성과 안팎의 이원성
공동 대응과 공간의 구조
공동성에서 프라이버시로
풍토성과 현대주택
3장 연대와 ‘온기’의 생태학: 리처드 노이트라의 생태 건축
정신분석학과 실증주의를 넘어서
다양한 기운과 조화로운 균형
정박과 기운의 조율
모태공간의 재현과 빛의 양수
온기와 다자 간 차원의 일본 전통
마주봄과 ‘우리’의 생태학
에코스와 연대
4장 지역성과 초지역성의 변증법
비판적 지역주의를 넘어서
지역주의에 대한 비판
풍토와 건축적 ‘코드’의 신체적 효능
풍토와 대립항의 변증법
대립적 균형과 삶의 양상
간풍토성間風土性과 지역적 경계를 넘어서
지역성과 초지역성
유형과 차이
결론
감사의 말
도판목록
찾아보기
공간에 내던져진 현존재, 풍토적 인간
서구 전통의 이원론적 세계관은 인식 주체인 인간과 그 대상인 자연을 분리해 놓았다. 하이데거는 이러한 사유가 인간과 자연을 동떨어진 존재로 나누어, 자연물을 인간의 편의적인 자원이나 도구로 인식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와츠지는 하이데거의 사상을 수용하되, 시공간 안에 던져진 존재의 ‘피투성’을 더욱 강조하면서 자신의 사유를 심화했다. 그는 특히 ‘공간성’을 인간 존재를 규명하는 키워드로 보고, 인간이 내던져진 공간이자 모든 체험의 배경이 되는 자연조건을 ‘풍토’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파악했다. 저자는 와츠지의 풍토론을 이어받아 기후변화와 자원고갈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건축과 도시가 나아갈 지향점을 다시 설정한다. 인간이 만든 구조물이 개인에게 ‘풍요로운 공간 경험’을 제공하는 데에 집착하느라 기후와 삶의 내밀한 관계를 놓쳐버린다면, 사회 전체의 측면에서는 윤리, 즉 ‘에토스’의 영역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누구인가’를 발견하게 해주는 거울, 풍토
저자는 철학자 에라짐 코하크의 말을 빌려 자연이 우리에게 ‘나타나는’ 양태야말로 실재하는 세계의 모습이라 말한다. 실제로 우리는 어떠한 사물을 접할 때, 사물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둘러싼 환경이나 맥락 속에서 인식한다. ‘물’을 인식할 때면 H₂O라는 기호로 표기되는 물질이 아니라 더 구체적인 양태, 예컨대 ‘고즈넉한 화장장의 반사 연못의 물’처럼 특정의 환경과 정서적 분위기가 수반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연은 인간과 동떨어진 객체가 아니며 인간 또한 자연을 맘대로 조작하는 주인이 아니다. 자연 현상은 인간의 성정과 맞물리고, 이 양자의 융합 속에서 ‘의미’로 가득찬 풍토의 세계가 탄생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풍토는 인간 성정의 다양한 양상을 발견하게 하는 은유로서 우리에게 다가온다. 다양한 풍토와 그에 관련된 인간 유형을 몬순의 인내심, 사막의 끈질김, 초원의 합리성 등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바로 좋은 예이다.
일본의 전통 가옥과 노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