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1장 엘리아데와『성과 속』에 대하여
2장 『성과 속』의현상학적성격
1. 현상학의 문제의식
2. 현상학적 판단중지
3. 현상학적 태도변경
4. 현상학적 본질직관
5. 초월론적 현상학적 환원
3장 종교적 체험의 본질로서의 성현
1. 성과 속의 변증법
2. 일상적인 것에서 출현하는 성스러움의 사례
4장 성스러운 공간
1. 공간의 존재론적 단절
2. 차별화된 의미로 구조화되는 공간
3. 카오스와 코스모스
4. 세계 창조의 근원으로서의 세계의 축
5. 현대의 탈신성화된 공간
5장 성스러운 시간
1. 시간의 존재론적 단절
2. 마디와 리듬으로 구조화되는 시간
3. 세계 창조의 기원으로서의 원초적 시간
4. 신화의 재현과 모방으로서의 축제
5. 현대의 탈신성화된 시간
6장 성스러운 자연
1. 하늘
2. 땅
3. 물
4. 나무
5. 달과 해
6. 돌과 금
7. 우주적 신비의 완전성과 통일성
7장 성스러운 인간
1. 세계를 향해 열려 있는 실존
2. 소우주로서의 살아 있는 몸
3. 통과의례
4. 성년식
5. 결혼식
6. 장례식
8장 인간의 근원적 본성인종교성
1. 현대인의 삶에 드리운 종교성의 흔적
2. 엘리아데의 『성과 속』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
3. 존재의 의미를 추구하는 한 인간은 본성상 ‘종교적 인간’이다
요약
더 읽어볼 만한글
자료 출처
“모든 인간은 본성상 그리고 영원히
종교적 인간(homo religious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터키석, 이게 행운을 가져다준다는데.” 웬 미신이냐고 석연찮은 투로 대꾸하면서도 못 이기는 척 반지를 건네받았고, 그 일이 있은 지 얼마 안 되어 사고를 입는다. “이만하면 천만다행입니다.” 간신히 큰일은 면했다고 말하는 의사선생님을 보자 반지를 선물해 준 이의 얼굴과 함께 반지가 나를 구했다는 생각이 뒤미처 떠오른다. 눈앞이 흐려지며 시간이 정지되고, 공간감은 사라진다. 반지가 끼인 손가락 언저리의 통증에 그쪽으로 시선을 옮기니 반지의 터키석 부근만 깨져 있다. 돌이 깨진 자리에 성스러움이 깃들었는지 그로부터 반지를 볼 때면 숙연한 마음이다.
우리는 어떤 때, 어디에서고 성스러움을 경험한다. 라이터가 총알을 막아 목숨을 건졌다는 베트남전 당시 모 중사의 사례까지 가지 않더라도, 생일날의 케이크나 부적처럼 지니고 다니는 볼펜, 찾을 때는 없더니 이상스레 신발 속에 들어가 있는 네잎클로버, 우연히 책을 펼치다 발견한 문장이 어떤 중요한 선택에서의 계시처럼 느껴질 때, 합리적 결정이 아님을 아는데도 뭔가 이끌리듯 행하게 되는 결정들... 이러한 경험은 예기치 않은 때 우리의 일상을 오리며 비집고 들어오고, 좀처럼 잊기 힘든 감각으로 우리에게 흔적을 남긴다.
성과 속의 변증법, 범속한 것에서 출현하는 성스러움
우리가 범속함의 세계를 살아가다 성스러움을 체험하는 것은 이러한 종교적 경험을 통해서다. 현대종교학을 대표하는 학자 미르치아 엘리아데는 『성과 속』에서 이같이 성스러움이 범속함의 세계에서 나타나게 되는 것을 성현(聖顯, hierophany이라고 규정한다. 이전까진 의미가 분화되지 않고 균질적이었던 시공간이 차별화되어 비균질적인 것으로 탈바꿈되며 성스러움을 띠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 신호재 교수는, 엘리아데가 “현상학적 직관에 따라 종교적 체험의 본질로서의 성현이라는 사태를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기술”했다고 보았다. 그런 점에서 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