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3
이 책의 특징 ……………………………………………………………………… 4
훈민정음 상식
一. 세종대왕
1. 개요 ………………………………………………………………………… 8
2. 생애 ………………………………………………………………………… 8
3. 업적 ………………………………………………………………………… 8
4. 훈민정음 창제 ……………………………………………………………… 9
二. 훈민정음 원본, 해례본, 언해본
1. 원본 ………………………………………………………………………… 9
2. 해례본 ……………………………………………………………………… 9
3. 언해본 ……………………………………………………………………… 9
三. 훈민정음 해례본
1. 개요 ………………………………………………………………………… 10
2. 발견경로 …………………………………………………………………… 11
3. 국보 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의 비밀 ……………………………………… 12
4. 해례본과 언해본에서 발견된 오자 ………………………………………… 14
5. 훈민정음 해례본 집필에 참여한 8학사 …………………………………… 14
6. 훈민정음 관련 기구 및 직제해설 ………………………………………… 18
四. 훈민정음의 다른 이름
1. 언문 ………………………………………………………………………… 21
2. 암클·아햇글·가갸글 ………………………………………………………… 21
3. 배달말 ……………………………………………………………………… 21
4. 조선글 ……………………………………………………………………… 22
5. 한글 ………………………………………………………………………… 22
五. 훈민정음 창제 관련 기념일
1. 가갸날 ……………………………………………………………………… 23
2. 한글날 ……………………………………………………………………… 23
3. 조선글날 ………………………………………………
이 책의 특징
1. 《훈민정음 해례본》이 약 500여 년의 시공을 초월하여 우리 앞에 나타나게 된 배경과 훈민정음 해례본에 관한 숨은 이야기 및 기초 상식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흥미 있게 읽을 수 있도록 기술하였다.
2. 이 책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본문과 동일하게 행마다의 글자에 맞춰서 가독성을 높였다.
3. 《훈민정음 해례본》본문의 해석은 원문과 같이 행에 맞추어 축자식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대어로 해석하였다.
4.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문에 쓰인 표기법과 자모음의 글꼴은 창제 당시의 표기법으로 편집하여 역사성과 학술적 가치를 보존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였다.
5. 본문의 해석문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어는 ( 안에 한자를 병기하였다.
6.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본에 쓰인 한자 중 속자 혹은 약자는 모두 원형을 유지하고 별도로 부록에 속자·이체자를 정자체와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한자 쓰임에 관한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7. 《훈민정음 해례본》에 사용된 전체 한자 수와 한자 별 사용 빈도를 분석한 자료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부록에 제시하였다.
8. 《훈민정음 해례본》에 거론되는 인물 및 관련된 직책 등을 간략하게 소개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집하였다.
9. 내용 중 보충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각주(脚註로 정리하여 이해를 돕도록 편집하였다.
10. 국보 제70호이자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훈민정음 해례본》과 세조 때 간행된 「언해 세종어제서문」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