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권 공통]
머리말
등장인물 소개
1권 천하통일과 고려의 개막
제1장 후삼국의 분립
제2장 삼한의 통일
제3장 호족의 나라
제4장 개혁하는 고려
2권 전쟁과 외교, 작지만 강한 고려
제1장 거란과의 전쟁
제2장 태평시대
제3장 떠오르는 여진과의 관계
제4장 잇따른 정변
3권 무신정권과 반란의 시대
제1장 무신란과 무신정권
제2장 이어지는 무신 권력자
제3장 반란의 시대
제4장 최씨 정권의 성립
4권 대몽항쟁의 끝, 부마국 고려
제1장 몽골의 침략과 항전
제2장 무신정권과 항전의 끝
제3장 원나라의 간섭
제4장 부마국
5권 개혁의 실패, 망국으로의 길
제1장 허약한 왕좌
제2장 공민왕의 개혁과 좌절
제3장 우왕과 권문세족
제4장 역성혁명
[각 권 공통]
작가 후기
고려사 연표
고려 왕실 세계도
정사(正史로 기록된 고려의 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정사(正史로 기록된 고려의 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박시백의 손끝에서 생명력을 되찾다!
- 콘티부터 작화까지 오롯이 박시백이라는 장인의 손길을 거쳐 되살아난 고려사 500년
고려시대는 지금껏 겉으로는 친근하지만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 번도 제대로 알지 못했던 우리 역사였다. ‘고려’에서 비롯한 ‘코리아(Korea’라는 이름부터 팔만대장경판과 고려청자로 대표되는 문화적 성취, 2000년대 초 방영해 지금까지도 인터넷 밈으로 활용되는 사극 《태조 왕건》까지, ‘고려’ 하면 한국인 누구나 쉽게 떠올리는 것들은 있다. 하지만 고려시대가 흥성하고 쇠망한 역사적 흐름과 그 안에서 펼쳐진 정치적 격변의 구체적 사정을 아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고려 역사를 기록한 사료들은 최소 630여 년 세월의 풍파 속에서 자연적으로 그리고 의도적으로 지워져 소략하기 그지없고, 고려의 유물과 유적지들은 대부분 오늘날 북한 지역에 소재하여 쉽사리 접할 수 없는 실정이다. 깊이 있는 학술적 연구와 저작물 제작에 어려움이 따르니 고려시대에 관해 믿을 수 있으면서도 쉽고 재미있게 감상할 만한 콘텐츠는 여태 전무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박시백은 자신이 지금껏 해왔고 가장 잘하는 방식, 즉 정사(正史 사료를 기반으로 삼아 고려시대를 복원하는 일에 나섰다. 박시백은 《조선왕조실록》, 《삼국사기》와 함께 대한민국 4대 정사로 손꼽히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주목했다. 《고려사》는 조선 세종의 교지를 받아 김종서·정인지 등이 편찬한 고려시대 역사서로 오늘날 전하는 고려 사료 가운데 가장 오래됐으며, 당대의 역사서는 물론 문집·묘지명 등 다양한 원 사료를 수록하여 세가 46권, 지 39권, 연표 2권, 열전 50권, 목록 2권 등 총 139권 75책의 방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찬자가 문장을 만들어내지 않고 원 사료의 문장을 그대로 옮겨 적는 방식으로 엮었으며, 인물 평가도 한 개인에 대한 칭찬과 비판의 자료를 모두 기재하여 엄격한 역사성과 객관성을 유지한 역사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