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3
제1편 국가적 경계의 개념
개관 · 12
Ⅰ 서론 · 13
Ⅱ. 국가적 경계의 개념: 경계(border · 18
Ⅲ. 국가적 경계의 특성: 모순(contradictions · 24
Ⅵ. 국가적 경계의 전략: 영토성(territoriality · 30
Ⅴ. 국가적 경계의 변화: 지구화(globalization · 37
Ⅵ. 결론 · 45
제2편 국가적 경계의 이론
개관 · 54
Ⅰ 서론 · 55
Ⅱ. 국가적 경계 연구의 등장: 분석 수준 연구의 토대 · 60
Ⅲ. 국가적 경계 연구의 전개: 분석 수준 연구의 전형 · 68
Ⅳ. 국가적 경계 연구의 확장: 분석 수준 연구의 변형 · 81
Ⅴ. 결론 · 90
제3편 국가적 경계의 사례
개관 · 98
Ⅰ 서론 · 100
Ⅱ. 인터레그의 좌표 · 103
Ⅲ. 인터레그의 전략: 유럽 2020(the Europe 2020 · 110
Ⅳ. 인터레그의 정책: 유럽 결속정책(the European Cohesion Policy · 116
Ⅴ. 인터레그의 기금: 유럽 지역개발기금(ERDF, 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 122
Ⅵ. 인터레그의 사업: 인터레그 Ⅴ(INTERREG Ⅴ · 127
Ⅶ. 결론 · 143
참고문헌 · 146
전통적 국제정치학에서는 30년 전쟁(Thirty Year’s War, 1618~1648을 ‘국가적 경계(state borders’에 근거한 국가적 형태가 출현한 시원적 사건으로 이해하며, 이 전쟁이 종결된 1648년의 웨스트팔리아조약을 국가적 경계의 발생 기점으로 상정하는 이른바, ‘웨스트팔리아 기점설’이 정설로서 수용된다. 이에, 무정부성(anarchy을 그 근원적 토대(土臺로 삼고, 전쟁의 방지와 평화의 창출을 그 목적(目的으로 표방하는 전통적 국제정치학의 기저(基底에는 국가적 경계가 자리 잡게 된다.
즉, 국가적 경계에 기초하여, 무정부적 국제 체계가 등장하는 것이고, 이 무정부적 국제 체계에 토대하여, 갈등과 전쟁이라는 현실적 이해(利害가 표출되며, 이 갈등과 전쟁에 기반하여, 협력과 평화의 목적적 지향이 출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적 경계는 국제정치학의 제일원인(第一原因, 根本原因, prima causa으로서 실존하게 된다.
이에, ‘제1편 국가적 경계의 개념’에서는 국가적 경계의 본질을 ‘변화(變化’로부터 추론하여 규명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① 국가적 경계의 개념, ② 국가적 경계의 특성, ③ 국가적 경계의 전략, 그리고 ④ 국가적 경계의 변화로 귀속되는 주제들을 다룰 것이다.
우선, ‘제2장 국가적 경계의 개념: 경계(borders’에서는 경계의 어의와 border의 의미로 구별하여 국가적 경계 그 자체와 그로부터 도출되는 유관 개념들을 정의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3장 국가적 경계의 특성: 모순(contradictions’에서는 물질성과 관념성의 모순, 배제성과 포용성의 모순, 민족성과 종족성의 모순, 민주성과 권위성의 모순, 망각과 기원의 모순 등으로 구별하여 국가적 경계에 내포된 이중적 특성들을 규명할 것이다.
그리고 ‘제4장 국가적 경계의 전략: 영토성(territoriality’에서는 영토성의 개념, 영토성의 의의로 구분하여 국가적 경계가 발휘하는 전략적 양상들에 집중할 것이다.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