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일본문화와 문화외교
들어가면서
1. ‘문화외교’ 연구의 방법론과 문제의식
1 ‘문화외교’ 연구의 문제의식
2 ‘문화외교’ 연구의 배경
2. ‘일(日’의 ‘일본문화’의 이해와 ‘문화외교’의 개념
1 ‘문화’인식의 역사성-근대 이후
2 ‘문화’인식의 역사성-전후
3 일본문화와 ‘의식혁명의 시대’
3. 전후 일본의 ‘문화외교’의 추이
4. 맺음말-일본적 가치의 역사성
제2장 제국일본의 ‘일본문화’의 외교 전략화
들어가면서
1. 제국일본의 대외 문화사업 구상
1 국책으로서의 문화사업 인식
2 문화의 ‘외교’화 여론
2. ‘제국문화’의 ‘해외선양’ 체제의 구축
1 제국일본의 문화적 리더십 추구
2 ‘국제문화진흥회’ 설립
3 동방의 주체로서의 ‘일본문화’
3. ‘일본문화’의 해외발신에 대한 국민적 지지
4. 맺음말-문화외교 ‘이념’의 전승
제3장 일본의 전후부흥과 문화외교
들어가면서
1. 전후 일본의 외교노선-‘경제외교’의 중시
1 점령군지배와 요시다의 외교철학
2 외교통상정책의 성과와 전후부흥의 완료
2. 전후 일본의 부흥과 외교 전략의 변화
1 전후 일본의 동아시아 인식
2 동아시아 외교 전략의 의미
3. 전후외교에 있어 ‘문화외교’의 인식
1 일본적 가치의 대외지향성
2 문화외교의 주목
4. ‘문화외교’의 추진 경과와 실태
1 배상을 통한 문화교류정책
2 선진문화수용을 위한 문화교류정책
5. 맺음말-‘문화외교’노선의 의의
제4장 일본의 국제지위변화와 문화외교
들어가면서
1. 일본의 고도경제성장과 국제사회의 지위변화
1 전후부흥과 고도성장의 문화적 기반
2 일본경제의 약진과 국제적 지위 향상
2. 일본의 국제지위 변
패전국에서 경제대국 · 문화대국으로까지…
일본문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증대와 함께 일본어학습자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경제력과 국제적 지위변화를 반영한 당연한 현상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그 이면에는 일본문화의 매력과 팝 컬처에 대한 각국 청소년들의 관심고조라는 또 다른 동기부여가 존재한다. 21세기의 국력은 문화콘텐츠산업이 성패를 가를 것이라는 예측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문화콘텐츠는 세계 청소년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일본어나 일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국제사회에 확산시켜가고 있다. 소프트파워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는 사례이다.
그렇다면 일본은 전후부터 어떻게 일본의 내셔널 이미지를 변화시켜왔는가?
<전후 일본의 문화외교 연구>(소명출판, 2014는 패전국에서 경제대국 · 문화대국으로까지 전후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일본문화를 어떻게 확장해 왔는지 그 전 과정을 일본문화외교사의 관점에서 분석한 일본 이해서이다.
전후 일본의 문화외교사를 일본적가치의 대외지향성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한 국내 유일의 학술서인 본서는 일본 문화외교의 기반이 구축된 1930년대를 기점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략화된 이념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에서 문화교류 · 협력을 국익과 연계하여 단계적으로 실천해 간 사실을 체계적으로 논증했다.
1970년대-국제교류기금의 탄생
전후 일본의 문화외교사를 개괄해 보면 문화외교의 도입기(1950∼60년대로부터 성장기(1970∼80년대와 성숙기(1990∼00년대를 거쳐 최근에는 전략기(2010∼에 접어들고 있으나, 일본사회가 범국가적 차원에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본격적인 대응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부터이다.
이 무렵 일본은 GNP 제2위의 경제대국의 지위에 걸맞은 공헌을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요청에 직면하여 ‘해외의 여론에 대해 평화국가를 지향하는 우리나라에 대한 바른 이해를 얻기 위한 방책’으로서, 또 ‘이데올로기